TANNOY R.H.R (60주년 기념작) )&Mark Levinson No.26SL(BAL) +McIntosh mc275 > 오디오국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디오국산

판매중 TANNOY R.H.R (60주년 기념작) )&Mark Levinson No.26SL(BAL) +McIntosh mc275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손영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21.♡.40.154) 댓글 0건 조회 3,522회 작성일 11-03-16 00:09

본문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하지않음)

회원가입일 : 2008-03-08 (5930 일)
최종접속일 : 2014-01-08 10:16:19

1)탄노이R.H.R 리미티스 에디션 스페셜 스피커
창립 60주년 기념 모델로 탄노이의 수석엔지니어 로널드 H. 락컴이 설계한 오늘날 켄터베리 15스피커의 원형이되는 기념비 적인 모델입니다,,,,특징으로는 복잡한 미로형 구조의 벡로드혼과 탄노이 동축형 유니트 특유의 프론트로드 혼이 결합된 올혼 구조의 공이 많이 들어간 탄노이 빈티지명기 오토그라프의 계보를 현대적으로 계승한 합리적인 진정한 명기 입니다,,,
일본의 새계적인 권위의 오디오 평론지 스테레오 사운드의 멘인 표지를 장식할 정도로 발매 당시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음악성이 매우 우수한 스피커 입니다,,,,,
세계적으로 소량 한정발매된 모델로 소장값어치도 매우 높은 콜렉터 아이템이기도 합니다,,,
주요계량점으로는 기존 탄노이 모델과 달리 네트워크 기판 대신 공이 많이 들어간 일일이 수공으로 배선한 하이 와이워링(HW 시리즈 개발)으로 음의 해상도가 현저하게 증가 되었습니다,,,또한 인크로져 전면 마감이 사치스로게 스피커 인크로져 재질로는 최고로치는 단단한 자작나무 원목(참고적으로 자작나무를 전면배풀에 체용한 탄노이 스피커는 동사의 최고라인 웨스터 민스터 로얄,,오토그라프 밀레니엄,,탄노이 켄터베리 15 등 동사의 최고라인에만 적용되는 특별사양입니다)을 체용하여 중저역의 울림이 당당하고 기백이 있어 좀더 품격높은 소리로 다듬어져 있습니다,,백로드혼 특유의 깊숙하고 시원시원한 깊은 저역으로 클레식 재생력에서 좀더 음영깊고 원숙한 탄토이 특등석에서 듣는드한 어른스러운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비교가되는 탄노이 켄터베리와의 차이점은 인클로져 설계구조에서 차이가 납니다,,,
디자인은 비슷하나 rhr이 우수한점은 인크로져 구조가 복잡한 미로형구조의 빽로드 혼 방식을 체용하고 켄터베리 15는 일반적인 저음 반사 방식을 체용한점입니다,,,
인클로져 만듬새가 마치  고가구를 보는듣한 고급스러움이 느껴지는 완벽한 마감을 느낄수 있습니다,,,
rhr이 저역 재생방식에서는 켄터베리15보다 좀더 고전적인 탄노이 답게 정통에 입각한 중후한 저역을 재생한다고 보면됩니다,,,
능율이 고능율로 엠프메칭은 그리 까다롭지 않은점도 큰장점 입니다,,
소출력 300b,,el34계열,,kt88,,쿼드 진공관 엠프(kt66),,메킨 t등등과 이상적인 조합을 이룹니다,,,오랫동안 사용하셔도 빛을 바라지 않는 진정한 현대판 오토그라프의 부할입니다,,,
영국을 대표하는 오디오 브랜드이자 브리티시 사운드의 원조로서 일세를 풍미해온 스피커 전문 업체가 바로 탄노이이다. 탄노이는 1926년 창사 이래 70여년에 이르도록 일관된 제품 폴리시를 유지해오면서 브리티시 사운드의 맹주라는 위치를 변함없이 유지해오고 있다.
가장 부드럽고 유장한 음색과 여유롭고 풍요로운 음장을 무기로 아날로그 오디오 시대의 반세기 동안 정상의 브랜드로 활약한 바 있으며, 디지탈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도 시대의 변천에 침몰하지 않는 영원한 명문으로서 위세와 가치를 지키고 있는 탄노이의 역사는 그대로 스피커 시스템 발전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오토그래프라는 불후의 명기를 비롯하여 RHR Prestige, GRF Memory, Westminster, Kingdom으로 이어지는 하이엔드 대작들의 성공과 LSU/HF/15로 출발하여 모니터 실버, 모니터 레드, 모니터 골드를 거쳐서 HPD로 완성된 [1]듀얼 콘센트릭 유닛의 독창적인 기술 혁신 그리고 외일드 캐츠를 위시한 업무용 SR 스피커 시스템들의 부단한 개발력 들은 현재의 탄노이 사운드를 형성시켜온 기틀이자 밑거름이라 할 수 있다.
어메리컨 사운드의 기수로서 미국에 알텍, EV, JBL이 있다면 영국에는 브리티시 사운드의 군주로서 탄노이가 있다. 전통과 관록의 음악적 무게와 더불어 영국적 품위와 기품으로 사색의 깊이를 가지는 사운드가 탄노이만의 음역이다.
탄노이RHR은 최고의수석엔지니어 rhr의 은퇴 기념작으로 제작된 기념비적인 모델로 웨스트민스터 처럼 인클로져 구조가 벡로드 혼방식을 체용하여 저역의 스케일이 벙벙거리지 않고 깊고 단단한 음질을 표현합니다,, 인클로져 형태는 켄터베리 15와 비슷하나 다른 점은 켄터베리는 저음방사형 방식이나 RHR은 벡로드 혼 방식의 인클로져가 조금더 복잡하다고 합니다
웨스트민스터를 구입하고 싶은데 공간 부족으로 보류 하신분에게 바른 대안이라고 생각됩니다 ,,,닉네임) 리틀 웨스터 민스터,,,,,
발매당시 가격이 일본 엔화가 기준 150만엔대의 무척 고가의 모델이었습니다,,,,
소량 한정발매된 모델로 전통적인 탄노이의 아이덴티가 강하게 느껴지는 존재감 강한 고품격 스피커 입니다,,,,,
**참고로 탄노이 회사의 모텔명은 궁전.성 궁전의나무등등.. 영국의 유적물을 상징으로 SOUND또한 그에걸맞는 소리를 표현하지요.
RHR은 탄노이 회사에 오랜세월을 봉헌한 기술자의 은퇴와 공로를 기리기위해 그분에 이름으로 모델을 정할정도니 그분에 장인정신을 높이평가 해야겠지요.
RHR은 인크로져가 자작나무이고 네트워크를 조절할수있고 한정판매로 국내에는 수량도 매우적은 편입니다.
RHR이 추구하는 SOUND는 탄노이의 전설적인 빈티지 명기 오토그라프 게보를 이어가는 정통적인 아이덴티인 백로드혼으로 다른 탄노이의 저음반사형이아닌 저음에 통울림을 줄이고 탄탄하면서도 저음에 흐름을 질감있게 유연하고 고급스럽게 표현함이 첼로나 콘트라베이스의 음악을 듣어보면 기존에 재품과 확연이 차이가나지요.
RHR은 자작나무 장점이더해저 깊은소리와 밀도감이 더해지고 해상력과 맑기면에서도 차이가있고요.
가격대 퍼포먼스가 매우 우수한 실질적인 탄노이의 숨겨진 보석같은 실력기라 할수 있습니다,,,,
오리지널 영국에서 재작한 재품으로 영국 현지 전직 대사관이 사용하던것으로 일반 시중에 돌지 않은 내외관 민트급의 소장 값어치가 매우 높은 완벽한 상태 입니다,,,,,
spec)
品名 スピーカーシステム
サイズ W(幅) : 700.00mm  H(高さ) : 1115.00mm  D(奥行) : 575.00mm
重量(kg) 75.00kg
長さ 0.00m
発売時期 1987
販売数量 1
スペック
■2WAY1スピーカー
■38cm同軸2WAYユニット
■インピーダンス:8Ω
■クロスオーバー:1kHz
■出力音圧レベル:92dB/W/m
■連続許容入力:120W
希望小売価格 ¥1,480,000(税込)

2)Mark Levinson No.26SL(BAL) pre amp
아메리칸 하이엔드 오디오의 대명사 마크레빈슨의 명기 No.26sl 프리엠프 입니다.
현재의 마크레빈슨 이란 회사가 하이앤드 오디오의 최고의 반열에 오르게 해준 전설적인 명기 LNP2 프리엠프와 함께 일등공신의 역활을한 존재감 넘치는 하이엔드 최고의 프리엠프 입니다.
91년도 발매당시 일본엔화기준으로 무려 ¥1,890,000(참고로 동사의 일반 모델인 no.26은¥980,000으로 2배 차이가 남)대에 거래되던 동사를 대표하는 최고의 하이엔드 프리엠프 입니다,,,,,,
이와 조합되는 ML2 ML3 파워나 23.5 20.6 파워엠프가 함께 명기 반열에 올라가 있으며. 오랜새월이 지난 현재에도 베스트셀러 최고의 하이엔드 프리엠프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수한 음질로 인해 중고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 귀한 마크레빈슨의 예술혼이 최고조로 발휘된 최고사양의 하이엔드의 정점에 다다른 진정한 명기 입니다,,,,,
일반 모델과 달리 음질이 우수하기로 정평이난 *테프론 기판*이 탑재되고 옵션인 아나로그 음질이 좋기로 정평이난 포노단이 지원되는 유익한 모델입니다,,,,
매칭관계는 위에 언급한바 있듯이 마크 23.5 20.6 ML2,,ML3 등과의 매칭이 베스트매칭 으로 알려져 있지만 빈티지진공관 엠프들과 믹싱해놓아도 저혀 손색없는 마크만의 모니터적인 정교 치밀함을 기조로 시원하고 묵직하고 차분한 음색을 여유롭게 들려줍니다.
기술적인 사양으로는 지금까지의 릴레이 방식에 의한 전환 방식을 한층 더 발전시킨 독자적인 매트릭스 방식에 의한 릴레이 컨트롤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에 의해 신호 경로를 최단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모든 입력과 메인 출력과의 사이의 스윗치 컨택트를 최대 2개소에 억제하고 있습니다.
사용 파트에는 MIL 규격을 시작으로 한 최고봉의 파트를 엄선해 채용하고 있습니다.
앰프부(No26sl)와 전원부(PLS-226L)를 분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상호 간섭을 완벽하게억제하고 있습니다.
내부 구조는 좌우의 회로를 완전하게 독립한 2개의 단청의 전치 증폭기 구성이 되고 있어 전원부에는 토로이달 트랜스를 이용한 좌우 독립 구성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위상 전환용의 앱설루트·스윗치나, 고순도의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밸런스 출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포노엠프를 가지지 않는 라인 앰프만의 구성을 베이직 모델로 하고 있어,
메인보드상에 설치된 옵션 슬롯을 이용하고, 2 종류의 포노카드(MC포노카드/MM포노카드)중 1개를 추가하는 일로 포노엠프 첨부의 모델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포노카드대신에 밸런스 입력 카드를 추가하면, 기존의 라인 앰프를 밸런스 입력 대응형으로 한 모델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카드에는 각각 게인 변환 스윗치가 설치되고 있어 포노카드에는 impedance 변환 스윗치도 탑재하고 있습니다.이 게인 변환 스윗치와 프런트 패널상의 좌우 독립 게인 컨트롤의 편성에 의해서, 모든 입력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험이나 잡음 노이즈등 일체 없으며 내부수리 전혀안된 오리지널리티 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원220v 사용하며 RCA 레모 핀2조 같이 드립니다.
내외관 민트급의 완벽한 상태 입니다,,,,,
spec)
형식 전치 증폭기
구성 듀얼·단청의 구성에 의한 스테레오 전치 증폭기
이득 포노안프 MM:38 dB, 44dB
포노안프 MC:58 dB, 64dB
Unbalance:6 dB, 12 dB, 18dB
Balance:12 dB, 18 dB, 24dB
입력 인피단스포노안프 MM:47kΩ(변환 가변 가능)
포노안프 MC:825Ω(변환 가변 가능)
라인 앰프:14kΩ
최대 출력 포노안프:6 V(Tape out)
라인 앰프:6 V(Main out)
전원 AC100V, 50Hz/60Hz
소비 전력 50W
외형 치수 본체:폭 444.5×높이 78.5×안길이 333.4mm
전원부:폭 193.0×높이 78.5×안길이 333.4mm
중량 본체:4.5kg
전원부:3.6kg
MARK LEVINSON No26L 출시가격¥1,890,000(1991년 발매)

3)McIntosh  mc275 poweramp
말이 피요없을 정도로 한시대를 풍미한 진공관 파워의 전설적인 부할을 알려준 명기입니다,,,,
메킨의 전설적인 명기 275진공관 파워를 현대적인 방법으로 새롭?완성시킨 현대판 명기입니다,,,
월래 들어가는 메킨 출력관 275 오리지널 진공관 파워 입니다,,,
체널당 출력은 75W이나 메킨 진공관 특유의 실제적인 파워감이 상당히 우수하여 웬만한 스피커는 여유롭게 울려주는 대출력 고성능 진공관 파워의 대명사라 할수 있는 동사를 대표하는 최고의 진공관 파워라 할수있습니다,,,,
진공관 파워엠프의 마지막을 장식한 오랜 새월이 흘러드 빛을 바라지 않는 최후의 명기라 할수 있습니다,,,,,
내외관 민트급의 완벽한 상태 입니다,,,,
story-----------------------------------------------------------------------------------------------------------
1962년 개발, 출시된 이후 Solid State 앰프 시대의 본격 하이엔드 오디오 앰프가 등장하기 직전까지 장장 10여년간 진공관 파워 앰프의 황제로 군림했던 MC 275 파워 앰프는 많은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있어서 선망의 대상이자 꿈의 오디오이었다. 이렇게 명기 중의 명기로 자리잡게 된 MC 275는 실상 전작 75W급 모노럴 파워 앰프인 MC 75를 스테레오화한 모델이다. MC 275와 유사한 디자인의 다운 모델 MC 240 역시 40W급 모노럴 파워 앰프인 MC 40의 스테레오화 버전이다.
왼쪽 새시를 경사지게 한 독특한 구조의 크롬 새시 위에 세 개의 중후한 사각 트랜스포머를 두고 모두 11개의 진공관을 탑재한 MC 275만의 툭유한 디자인은 매킨토시 사운드를 대변하는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영국 G.E.C사의 골드 모나크 KT 88 출력관 네 개를 장착한 오리지널 모델의 호화스럽고 당당한 풍모는 실로 장관이 아닐 수 없다. 당시로서는 75W/CH이라는 엄청난 대출력 특성을 가지면서 풍족한 진공관의 배열과 고급스러운 크롬 마감의 새시까지 보유한 MC 275 파워 앰프는 당대 최고인 동시에 지금까지도 진공관 앰프의 최고봉으로서 위상을 잃지 않고 있다.
ꊴ MC 275의 회로 구성
매킨토시 MC 275 파워 앰프의 회로는 다소 복잡하고 어려운 구성이다. 초단에서는 쌍삼극관인 12AX7(ECC 83)이 전압 증폭을 수행하는데, 이 초단관에는 외래 유도 잡음의 유입이나 험 발생을 막기위한 캡이 씌워져 있다. 두 번째 위상반전단에는 12AU7(ECC 82)이 채널당 한 개씩 사용되고 있으며 캐소드 결합형 회로 구성을 이룬 후 0.047㎌ 용량의 커플링 커패시터를 거쳐 세 번째단으로 연결된다. 세 번째단은 전압 증폭관이지만 다소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는 12BH7으로 구성되며, 이는 다시 네 번째단인 캐소드 팔로워 구성의 12AZ7(ECC 81) 드라이버단으로 연결된다.
MC-275
마지막 최종단인 KT 88 푸쉬풀 출력단이 스피커 시스템을 직접 구동해낸다. 출력단에는 오리지널 모델인 경우 KT 88 출력관 네 개가 사용되지만, 미국제 동등관 6550 네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KT 88이나 6550은 5극 출력관으로서 히터 전압 및 전류가 6.3V, 1.2A이며, 푸쉬풀 구동인 경우 약 450V의 전압을 걸어서 75W의 출력을 끌어낼 수 있다. 오리지널 MC 275인 경우 각 단간의 커플링 커패시터는 미국 스프라그사의 마일러 커패시터인 ‘블랙 뷰티’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 회로부는 베이클라이트 기판에 러그판을 부착하여 완전 하드 와이어링의 수작업 배선만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매킨토시 파워 앰프의 고유한 특성인 출력 트랜스포머에는 일반적인 사양과는 전혀 판이한 Unity Coupled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것은 트랜스포머 전문 회사인 Acme사의 제작품인데, NFB형 권선이 별도로 감겨져 있어서 한 쪽은 접지로 다른 한 쪽은 초단관의 캐소드로 연결되어 있다. 진공관 히터에는 모두 교류 6.3V가 공급되며, 전원부의 설계는 실리콘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미국 말로리사의 30㎌ 및 100㎌ 알루미늄 캔 전해 커패시터 4개에 의하여 직류로 평활하는 동시에 초크 코일을 통해서 리플을 줄여가는 구성이다. 바이어스 전원 역시 실리콘 다이오드와 12㎌의 전해 커패시터에 의해 정류하여 C 전원을 공급한다.
ꊵ 명기의 재현
매킨토시는 1993년 초 엔지니어이자 제 2대 사장을 역임한 Gordon J. Gow를 기념하여 MC 275의 복각품을 다시 한정으로 재생산하여 선보인 바 있다. 따라서 지금은 1962년부터 십년 동안 생산되었던 오리지널 MC 275와 1993년 재생산된 복각 MC 275의 두 가지 모델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오리지널과 복각품은 외장 디자인 및 무게 그리고 기본 회로가 동일하지만, 사용된 일부 부품이나 사양이 다소 차이가 있다.
우선 가장 큰 차이는 본래 언밸런스 입력뿐이며 전부 러그판에 수공으로 하드 와이어링 배선된 오리지널과는 달리 복각품에서는 밸런스 입력 단자를 장비하고 있다는 점과 전압 증폭단에 글래스 에폭시 PCB가 사용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각 모델에서는 일부 진공관이 변경되어 다소 회로의 수정이 있으며, 커패시터류 등의 사용 부품들이 현대화되었다. 또한 복각 모델에 사용된 진공관은 전압관류는 중국제를, 출력관은 미국제 KT 88을 사용하였다.
한편 전원부는 오리지널과 복각 모델의 차이가 거의 없는데, 전원 스위치를 생략한 대신 AC 입력 라인에 Thermistor를 삽입하여 회로가 안정화될 때까지 전원 투입 초기의 전류를 제한하고 있다.
ꊶ 매킨토시 튜브 사운드의 완성
MC 275의 전원을 투입하면 진공관들 각각이 천천히 빨갛게 달아오르고 곧이어 불 빛이 환하게 켜지면서 갖가지 형색으로 크롬 새시에 반사되는 기하학적인 일루미네이션은 참으로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낸다.
마란츠 모델 7 프리 앰프와 더불어 진공관 시대 양대 명기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해온 매킨토시 MC 275는 이처럼 아름답고 찬연한 디자인의 풍요로움과 함께 대단히 호쾌한 울림과 웅장한 음상을 재현하는 고음질력을 겸비하고 있다. MC 275 파워 앰프의 음질은 예전부터 풍만한 음상과 시원스러운 음장이 특징이지만 사용하는 출력관의 종류에 따라서도 재생 음질에 큰 차이가 있다. 최상의 출력관은 영국 GEC사의 골드 모나크(Gold Monarch) 및 골드 라이언(Gold Lion)이며, 다음으로는 미국 Tungsol사의 항아리형 6550을 꼽을 수 있다.
아무튼 선이 굵고 중후한 음색의 질감과 대출력을 앞세운 다이내믹한 에너지감은 오늘날 명기 MC 275의 가치를 대변하는 음질이자 매킨토시 튜브 사운드의 궁극적 완성이라 할만 하다. 물론 매킨토시의 모델 라인에는 초창기 명기들이라 할 MC 30, MC 40, MC 60, MC 75, MC 240 파워 앰프류 등과 1960년대 중반 선보여진 파워 앰프 가운데 6LQ6(6JE6) 출력관을 사용하여 채널당 350W까지의 엄청난 고출력을 유지하는 MC 3500 파워 앰프도 있으나 아무래도 진공관 시대 매킨토시 사운드를 대표하는 간판격 모델은 MC 275 파워 앰프임에 틀림없다.

이상 전기종 일괄 1370만원 다른 오디오와 절충 교환도 가능 교환가 1400만원
단품 문의는 전화 바랍니다,,,,
010-2441-99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430
어제
965
최대
19,236
전체
11,898,909


게시물의 내용과 개인간 거래에 관련된 모든 책임과 권리는 거래 관련 당사자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