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스튜디오 모니터 사운드의 진수)ALTEC 9440A power amp+MARK LEVINSON NLP-2L PREAMP & JBL MODEL 4344 STUDIO MONITOR > 오디오국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디오국산

판매중 아메리칸 스튜디오 모니터 사운드의 진수)ALTEC 9440A power amp+MARK LEVINSON NLP-2L PREAM…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손영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21.♡.41.182) 댓글 0건 조회 9,074회 작성일 09-01-25 14:23

본문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하지않음)

회원가입일 : 2008-03-08 (5957 일)
최종접속일 : 2014-01-08 10:16:19

메니어들 사이에 널리 알려진 미국의 유명한  스튜디오 레코딩 모니터 스피커 JBL 4344와 미국의 빈티지 오디오의 자존심 역시 스튜디오 레코딩 파워엠프 altec 9440a의 레퍼런스적인 어른스러운 완벽한 조합입니다,,,,,
이와 조합되는 두뇌에 해당하는 마크레빈슨의 최고의 명기프리엠프로 오늘날에도 명성이확고한 MARK LEVINSON NLP-2L PREAMP의 메칭입니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울리기 어렵다는 JBL 4344를 최고의 실력을 이끌어 내는 합리적인 완벽한 메칭임을 자부합니다,,,,
강력한 토크,,,영원의 델리커시한 사운드의 진수를 들려주는 프로페셔널 모니터 사운드의 진수를 들려주는 멋진 조합입니다,,,,
동급 가격대 JAZZ,,POP 재생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퍼펙트한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1)altec 9440A -미국의 전설적인 빈티지 웨스턴 일렉트릭의 혈통을 이어받은 진정한 빈티지 하이엔드 브렌드 알텍의 존재감 넘치는 빈티지 명기 켄티알 방식의 대출력 파워앰프 입니다,,,발매당시 스튜디오 모니터링 최고급 파워엠프로 프로페셔널 분야에서 엔지니얼들 사이에서 우수한 실력을 검증받은 아메리카의 대륙적인 기질이 잘 살아있는 야생마적인 하이엔드 파워엠프 입니다,,,,일본내에서는 jazz메니어들 사이에서 고가에 거래되는 실력기로 매우 매력적인 빈티지 파워엠프입니다,,,,음질이 좋기로 소문난 초기 켄티알을 엄격한 선별과정을 거쳐 완벽한 페어메칭을 하여 체널당 무려 16개씩 도합 32개로 막강한 스피커 드라이빙 능력과 단지 힘으로만 밀어붙이는 파워가 아니라 냉철한 정교치밀한 해상도와 마치 진공관 엠프와도 통하는 아나로그적인 두툼하고 안정적인 부드럽고 탄력적인 음색을 갖춘 빈티지 명기 파워입니다,,,,,,
상태는 노이즈 수리 경역또한 없는 완벽한놈으로정격 출력은 4옴기준 양쪽 800W로 힘이 넘치며 어느 스피커든 가리지 않고 잘 울려주는것이 특징 이지만 특히 알텍 스피커를 소름끼치는 사운드로 잘 울려주는 알텍의 명기 파워앰프 입니다 jbl 4344나 그밖에 빈티지 스피커들과 메칭 또한 메칭이 기가막힘니다,,,, 음악을 들으면서 눈만 감고 있으면 바로 앞에 악단이 와 있는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현장감 재생이 능한 음질좋은 파워앰프 입니다....
그밖에 울리기 어려운 현대 하이엔드 스피커들과의 궁합이 매우 뛰어납니다,,,,
아래에 소개한 왠만한 파워엠프로는 꿈쩍도 안하는 JBL 4344스피커를  긴장감 넘치고 하이스피드 하게 레퍼런스 적인 실력을 끌어냅니다,,,같은 계열의 스튜디오 모니터 엠프와 스피커 답게 이상적인 모니터적인 정확한 사운드를 매력적으로 들려줍니다,,,,
그밖의 atc의 북셀프 모니터10,,20이나 상위기종 50,,100까지도 완벽하게 울려줍니다,,,,,
비온뒤 안개가 걷힌듯한 샤프 하면서도 맑은 음색은 9440A 앰프를 들어 보신 분만이 아십니다. 무게가 엄청 무거운 제품 입니다...
발매당시 일본엔화기준 950,000엔의 동사 최고라인의  하이엔드로 음질이 매우 우수한 초창기 켄TR 파워엠프였습니다,,,,,,

2)JBL MODEL 4344 STUDIO MONITOR-미국의 하이엔드 스피커 jbl 의 대표적인 프로페셔널 스튜디오 모니터의 레퍼런스적인 모니터 스피커 입니다,,,,
수 많은 메니어들 사이에 이미 실력이 검증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메니어 지향의 명기 스피커 입니다,,,,
JBL은 과거 아날로그 오디오의 황금기에 영국의 탄노이와 더불어 세계의 사운드를 양분해온 미국의 대표적 스피커 브랜드이다. 그러나 사실 JBL 본래의 성가는 주로 프로용 분야의 업무용 스피커 시스템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실상 하이파이 분야의 명성은 미국 본토에서보다 일본 등지에서 모니터기가 눈부시게 활약한 성과에 힘입은 바가 크다.
과거 스튜디오 모니터 용도로 개발된 43시리즈의 하이파이 전용과 지속적인 성공은 근래에도 M 및 S 시리즈의 도입으로 이어져서 디지털 오디오 시대로 접어든 지금도 JBL의 위세가 당당함을 확인시켜 준다. 그런데 이처럼 JBL 모니터 시스템 유행의 바탕이 되었던 4344는 발매 이래 무려 15년이 넘는 최장수 모델로서 유례없는 베스트셀러로서의 인기를 모았던 명기 중의 명기이다.
이제것 JBL 4344의 실력과 가치는 새삼 말할 것도 없이 오디오 애호가들 전반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CD의 등장과 보급을 기반으로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그 재생 음역과 음질의 한계도 있겠으나 업그레이드 버전인 JBL 4344 MKⅡ가 발매된 이후에도 국내 시장에서는 계속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JBL은 이미 모니터기의 신 모델로서 JBL M9500을 필두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라인업을 선보여왔지만, 기존 JBL 4344의 성가와 비교하면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애초에 녹음용 스튜디오 모니터에서 출발한 4344는 하이파이 모니터로서 발군의 음장과 섬세한 음질을 인정받으면서 가장 널리 사랑받아온 스피커 시스템의 하나가 되어왔다.
그동안 4344만의 독특한 매력은 클래식과 팝, 재즈의 장르를 가리지 않는 소화력과 시원스럽게 내뻗는 울림 그리고 치밀한 해상력 등으로 집약되는데, 이러한 장점은 지난날 모니터 시스템의 특유한 특성이자 아날로그 사운드가 갖는 고유의 성향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다.
ꊳ JBL 43 시리즈의 신화
4344, 아날로그 시대의 명기이다.
1946년 출범했던 JBL은 LP의 하이파이 시대가 도래한 이후ALTEC 및 EV와 더불어 아날로그 사운드의 중핵으로서 웨스턴 일렉트릭(WE)의 본류를 계승함으로써 가장 미국적인 스피커 사운드 중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듯 ALTEC과 EV를 포함하는 구시대 미국 사운드의 전형으로서 그 중심부에 JBL이 동참해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업무용 분야가 아닌 하이파이 스피커 부문에서는 지금까지 JBL만이 하이파이 사운드의 실세로 확고부동한 입지를 차지해왔다. 이것은 무엇보다 1970년대 이후 업무용 모니터 시스템류인 JBL 43 시리즈의 눈부신 활약과 하이파이 시스템으로의 성공적 변신이 결정적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래 JBL의 프로용 모니터기의 첫 번째 모델은 1962년 발매하였던 JBL C50SM로서, 이는 38 cm 구경 우퍼를 채용한 2웨이 밀폐형 시스템이었다. C50SM 으로서 시작된 JBL의 모니터 시스템 개발은 10년 정도 지난 197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 스튜디오 녹음용 모니터인 43 시리즈의 연속 출시로 이어지게 된다. 1970년 역시 2웨이로 소개되었던 JBL 4320 시스템이 바로 그 유명한 43 시리즈 신화 탄생의 발판이 되었는데, 이는 다시 1973년 광대역 고특성화를 추구하는 4웨이 방식의 첫 모델로서 JBL 4350의 출시로 연결된다.
특히 JBL 4350은 더불 우퍼를 채용한 4웨이의 대형 모니터 시스템으로서 업무용 분야에서는 그 평판과 성가가 대단했던 모델이기도 하다.
JBL은 대형 모델 4350의 성공을 기반으로 1974년에는 싱글 우퍼 시스템으로 변형한 JBL 4341을 발매하는데, 이것이야말로 후에 불후의 명기로 등장하게 될 JBL 4344의 구조 설계에 있어서 기본적 골격 기틀을 제공한 모태가 되었다. JBL 4341의 개발은 1976년 다시금 JBL 4343의 출시로 변형되어서 이후 프로용 모니터기로서 JBL 4343은 장기에 걸쳐 상당한 호평과 애호를 받게 되었다. 이처럼 부단한 JBL 43 시리즈의 성공적 발매와 세계적 인기에 따라 드디어 JBL 43 시리즈의 신화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ꊴ JBL 4344의 대 성공
1976년 JBL 4343의 등장에 이르도록 43 시리즈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업무용 녹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유행된 것이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프로용으로서의 용도에 국한되었을 뿐이다. 그런데 이같은 43 시리즈 성공에 더 한층 불을 붙이게 된 것은, 일본의 오디오 애호층 저변을 중심으로 JBL 4343이 하이파이용으로 전용되기 시작했던 이색적인 유행이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JBL 4343이 업무용 모니터로서만이 아니라 하이파이용으로서도 상당한 인기를 모았던 까닭에 1982년 JBL 4343을 더 한층 발전시킨 모델로서 JBL 4344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JBL 4344는 발매 이후 일본 내 최고의 베스트셀러로서 인기를 한 몸에 모은 결과 한 때 일본 오디오 파일들의 규범적 레퍼런스로서까지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JBL 4344의 롱런은 근래에 JBL 4344 MK2가 등장하기까지 무려 15년이란 장수를 누리며 아날로그 모니터 사운드의 황제로서 군림하면서 JBL 43 시리즈의 정상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본래 미국 내에서는 43 시리즈의 어느 모델이든 가정에서 하이파이용으로 사용되는 일은 극히 드물어서, 어디까지나 JBL 4343 및 4344의 하이파이 전용은 일본의 오디오 전문가들이나 애호가들의 집요한 노력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43 시리즈를 설계한 JBL에서조차 초기에는 하이파이 전용에 대하여 상당한 의문을 가졌던 듯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BL 4343과 4344의 일본 내 인기가 장기화되자 마침내 JBL 사내에서도 하이파이로의 사용을 적극 고려하게 되었다. 결국 JBL 4344의 인기는 일본 내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동남아나 우리 국내에서도 꾸준한 애호가 지속되었던 때문에 JBL 역시 4344의 하이파이 전용을 간과할 수 없었음에 틀림없다. 아무튼 디지탈 오디오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는 지금 JBL 4344가 재생하는 음질은 분명 아날로그 사운드의 완성에 머물고 있음이 자명하다.
ꊵ JBL 4344 시스템의 구성 특성
독특한 외형관 달리 훌륭한 사운드를 보여준다.
JBL 4344는 기본적으로 대형 플로어 타입의 4웨이 시스템이며 전면 포트를 활용한 베이스 리플렉스의 위상반전 저음강화 시스템이다. JBL 4344의 드라이버 유닛 구성을 보면, 고역 트위터, 중고역 미드 하이, 중저역 미드 베이스, 저역 우퍼의 4웨이 구성이다. 우선 2405H 다이어프램 트위터로서 초고역 상한부를 재생하고 있으며, 중고역 미드 하이부는 페라이트 마그넷의 5cm 구경 2426H 드라이버와 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닛에 외부에서 음향렌즈로서 매직 테이프 형태로 부착하게 되어 있는 11매의 디퓨저가 부착된다.
중저역의 미드 베이스는 롤타입 에지를 사용한 25cm 구경의 2122H 콘형 우퍼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저역 우퍼는 4점 부착 38cm 구경의 2235H 콘형 우퍼가 채용되어 있다. 베이스 리플렉스의 저음 강화를 위한 위상 반전 포트는 배플면 한 쪽으로 2개 배치하였으며, 중고역부 3 유닛의 레벨 조절용 어테뉴에이터는 연속시킬 수 있는 가변 범위가 비교적 넓게 되어 있다. 시스템의 공칭 임피던스는 8옴이며 출력 음압은 93dB이다. 한편 각 음역을 분할하는 크로스오버 포인트는 320Hz, 1.3kHz, 10kHz이다.
(SPECIFICATION)
형식 : 4웨이 4스피커 베이스 리플렉스 방식 시스템
주파수 응답 특성 : 35Hz --- 20kHz(-3㏈)
감도(음압) : 93㏈(M/W)
공칭 임피던스 : 8Ω
크로스오버 주파수 : 340Hz, 1.3KHz, 8KHz
사용 드라이버 유닛 : 고역 --- 2405H 혼형 트위터
중고역 --- 5cm 2426H 컴프레션 드라이버 + 2307 혼
중저역 --- 25cm 2122H 콘형 우퍼
최저역 --- 38cm 2235H 콘형 우퍼
규격 및 중량 : 635×105×435(WHD)mm, 96kg
시리얼 넘버 26000번대의 후기 버젼으로  내외관 상태 초민트급의 완벽한 상태 입니다,,,,

3)MARK LEVINSON NLP-2L PREAMP- 오늘날 마크레빈슨이 최고의 하이엔드 브렌드의 입지를  다지게한 계기를 만들어준 진정한 전설적인 명기 프리엠프입니다,,,
모든 오디오 메니어들의 궁극의 프리로 인정하는 가슴을 설래게 하는 카리스마 넘치는 진정한 하이엔드 프리엠프 입니다,,,,,
뛰어난 성능으로 인해 중고 매물이 장터에 거의 안나오는것으로 유명한 프리입니다,,,
70년대 초기 전세계 하이엔드 오디오 시장에서 고급 앰프 하면 우선은 매킨토시(McIntoch)가 가장 많이 알려진 브랜드로 군림했습니다. 물론 이외에도 오디오파일용이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대중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제품은 그렇게 흔하지 않았습니다.특히 국내 시장에서 오디오파일들을 만족 시켜 줄 수 있는 앰프를 찾기란 쉽지가 않았습니다. 그만큼 이름 있는 제품을 만나기란 어려운 때었습니다. 이럴 때 최초로 하이엔드 앰프에 도전한 마그레빈슨은 1970년부터 붐이 일기 시작한 미국 오디오계의 젊은 엔지니어 기수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이름인 Mark Livenson을 따서 그의 부모로부터 빌린 1만5천 달러의 자본으로 사업에 착수했다. 1973년에 그가 디자인해 소개한 LNP-2 프리앰프는 27년이 지난 요즘에 와서도 오디오 파일들 간에 관심이 되고 있는 명기로서 아직도 거래되고 있는 것을 보게 되면 어느 정도의 신뢰성의 제품이란 것을 알 수가 있다.당시 미국 오디오계 젊은 엔지니어 기수의 한 사람으로서 각광을 받기도 했던 그는 유태계의 아버지와 독일계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6피트에 신장 소유자. LNP-2 프리앰프는 1973년 미국에서 발행되든 "db"라는 잡지 광고란을 통해 등장했습니다.
다이내믹 레이지 130dB에 고조파 의율 0.005% 이하, 바우엔 연구소의 VU 306 메타 설치 판매가격은 미화 1,760불로 당시에 프리앰프로는 상당한 고가 였습니다. 비교적 이름께나 있었던 매킨토시사에 C-22 프리앰프가 600달러 였고 오디오리서치사의 모델 SP-3는 695달러 였든 것을 보면 짐작이 된다.LNP 라고 이름을 붙친것은 LOW NOISE PREAMPLIFIER의 첫자를 따서 만든것으로 글자 그대로 저 잡음용 회로를 의미했다. 이 제품의 중요 회로 모두를 모둘 형태로 구성시켜 스림 라인 외형 디자인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 제품의 설계를 적극적으로 도와 준 사람은 하바드 대학을 나와 벨연구소에서 기술자로 근무했던 리차드 바우엔 이였습니다. 이 시스템에 부착된 아날로그 메타는 바로 그가 설계해 마크레빈슨 제품에 채택한 것으로 LNP-2가 발표 되기전 리차드 바우엔에 의해 LNP-1 프리앰프가 소개된 적이 있었다.이 제품은 LNP-2와는 전혀 다르게 설계된 형으로 대형의 VU메타 2개와 밑쪽에는 7개의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 제품은 실제로 판매된 일이 없다고 하는데 1974년 AES 4월호에 LNP-1이 소개된바 있습니다.
여하간에 당시 마크레빈슨 이라는 사람은 앰프 설계에 있어서는 거이 신화적인 존재로 알려졌고 그의 탁월한 솜씨는 그가 마크레빈슨이란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고 따로 설립한 첼로사에서 설계한 프리앰프인 모델 "1Ω" 에서 그의 탁월한 솜씨를 다시 한번 확인한바 있었습니다. 여하간에 모델 LNP-2 프리앰프의 성능이 알려지면서 대단한 반응을 불러모으게 되였고 오늘날에 와서도 최고의 명기로서 존재 "마크레빈슨"이란 이름을 오랫동안 기억나게 해주고 있다. "
오랜새월이 흘러드 변하지 않는 보석같은 영혼을 울리는 진정한 하이엔드 명기 프리엠프 입니다,,,,,
story)
마크레빈슨(Mark Levinson)’마크레빈슨(Mark Levinson)은 한마디로 하이엔드 오디오의 영원한 대명사이다. 이같은 마크레빈슨의 절대적 위상과 신화적인 명성은 마크레빈슨의 “소리”에 대한 독특하고도 남다른 철학,그리고 실제로 그러한 철학을 구현해내는 최고의 음향기술적 결집을 통해 이룩된것이다.
소리에 대한 철학
마크레빈슨의 “소리”에 대한 철학은 남다르다.
공연현장의 원음(原音)을 조금도 가감없이 가장 정확하게 재생해내는 오디오 생산, 이것이 마크레빈슨의 소리에 대한 철학이다.
즉 오디오가 음악이 연주되는 현장의 소리와 색깔을 조금도 변질시키지 않은채 신선한 원음 그대로를 재현해낼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창립이래 오늘날까지 마크레빈스은 이같은 소리에 대한 철학을 고집스럽게 지켜오고 있다.
그 결과 마크레빈슨의 애호가들은 완벽한 원음(原音)을 즐길수 있는 소리의 특권을 누리고 있다.
마크레빈슨은 트랜지스터 증폭회로에 관한 바탕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LNP(Low Noise Preamplifier)-2를 출시(出市)하였다. LNP-2 프리앰프는 기존의 앰프들과는 달리 앰프의 기계 각부분을 모듈(Module)화한 새로의 방식의 앰프였고, 기술적으로 매우 치밀하고 완벽한 앰프라는 평가를 받게되었다.
마크레빈슨(Mark Levinson)’이라는 브랜드는 지난 십수년간 최고급 오디오를 칭하는 대명사로서 사용되어 왔지만, 이처럼 신화에 가까운 마크레빈슨의 절대적 위상과 경이적인 명성은 최고급 트랜지스터 프리 앰프의 고성능, 고음질 성가에 의존한 바가 크다. 오늘날 하이엔드 오디오를 선도하고 있는 ‘마크레빈슨(Mark Levinson)’의 브랜드는 마크 레빈슨이라는 걸출한 오디오 디자이너 개인의 안목과 집념이 이룩한 결과이다.
 미국 내 하이엔드 앰프 브랜드의 태동기였던 1971년부터 마크 레빈슨은 음악과 오디오에 대한 열정과 친구의 협력을 바탕으로 집에서 오디오 제작을 시작하게 된다. 최초의 모델은 1972년에 선보인 카트리지 전용 프리 앰프인 JC-1인데, 이는 1974년에 완성한 프리 앰프 JC-2의 바탕이 되었던 모델로 마크 레빈슨이 기획하여 개발해낸 첫 번째 작품이다.
본래 전자회로를 전공한 회로 기술자가 아닌 마크 레빈슨은 처음부터 당대 최고의 오디오 엔지니어인 리차드 바우엔으로부터 상당한 도움을 받아왔다. 고품격 하이엔드를 지향한 마크레빈슨 최초의 성공작이라면, 오늘날까지도 그 놀라운 특성과 고음질을 인정받고 있는 LNP-2(L) 프리 앰프를 들 수 있다. 1973년 개발되어 1975년부터 정식으로 발매되기 시작했던 LNP-2 프리 앰프는 트랜지스터식 하이엔드 프리 앰프의 출현을 알리는 원점이 되었으며, 이후 절대적인 성능과 음질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마크레빈슨 사운드의 기술적 원형으로서 작용하였다.
결국 마크레빈슨은 유례없는 고특성을 이룩한 프리 앰프 LNP-2의 성가와 평판을 바탕으로 하이엔드의 기틀을 잡은 셈이다. 후에 마크레빈슨이라는 브랜드는 하이엔드 프리 앰프의 대명사로 자리잡게 되지만, 기실 마크레빈슨의 초기 성가의 대부분은 그 당시 산업용 아날로그 회로의 출중한 디자이너였던 ‘리차드 바우엔(Richard Burwen)’의 기술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
ꊲ 마크레빈슨의 회로 기술자, 리차드 바우엔
리차드 바우엔은 전자회로 전문 설계가로서 활약해온 오디오 엔지니어로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하버드 대학을 졸업한 다음 벨 연구소 산하의 스펜서 케네디 연구소에서 다년간 기술자로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1961년에는 독립적인 ‘바우엔 연구소(Burwen Laboratories)’를 창립한 뒤 주로 전자제품의 회로기술을 연구하였는데, 전자회로의 자동화 시스템 분야의 풍부한 연구실적을 쌓아왔으며, 한 때 메디컬 일렉트릭의 우주계획에 참여하기도 했다. 1970년경 AES 총회에서 리차드 바우엔은 ‘전자회로의 잡음제어 시스템’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는데, 바로 이것이 마크 레빈슨의 의뢰에 의하여 개발하게된 LNP-2 및 LNC-2의 모태(母胎)가 된 기술 바탕이었다.
ꊳ 마크레빈슨의 첫 번째 명기, LNP-2
마크 레빈슨의 든든한 기술 지원자 리차드 바우엔은 바우엔 연구소의 VU306 웨스턴 미터를 채용한 전원부 분리형으로서 130㏈에 이르는 다이내믹 레인지와 0.005%이하를 유지하는 극저의 고조파 디스토션이라는 놀라운 특성을 지닌 LNP-2라는 트랜지스터 프리 앰프를 설계하여 내놓게 된다. 결국 1970년대 초반 마크레빈슨 사운드의 성공적 출범은 LNP-2 프리 앰프 및 LNC-2 크로스오버 등을 통한 바우엔 연구소의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바탕으로 한 셈이다.
LNP -2 EQ Preamp
듀얼 모너럴 프리앰프 №28L
거의 최초의 모듈러 증폭단을 채용한 LNP-2나 LNC-2는 Low Noise Preamplifier 2와 Low Noise Crossover 2의 이니셜인데, 이는 바우엔 연구소의 기술적 노우하우를 배경으로 리차드 바우엔이 개발해내 각기 1975년과 1976년에 마크레빈슨의 모델로 선보인 모델이다. 마크레빈슨은 이 두 모델의 성공에 힘입어 전혀 새로운 개념을 가진 초고급 오디오의 새로운 장르를 열면서 일약 미국 최고의 하이엔드 프리 앰프 메이커로 급부상하게 된다.
ꊴ 마크레빈슨 프리 앰프의 초기 라인업, ML 시리즈
LNP-2의 개가로 시작된 마크레빈슨의 최고급 프리 앰프 모델 라인은 1977년 선보인 ML-1 스테레오 프리 앰프로부터 1979년에 완성한 모노럴 프리 앰프 ML-6(A,B)와 1980년에 개발한 스테레오 모듈러 프리 앰프 ML-7(A)를 거쳐서 유일한 전원부 내장형 프리 앰프로서 1981년에 개발된 ML-10(A) 프리 앰프와 밸런스 콘트롤을 생략한 대신에 2개의 볼륨 콘트롤을 가지는 1982년 발매의 ML-12(A) 프리 앰프로 완성되어진다.
초기 ML 시리즈로 대변되는 마크레빈슨의 초창기 프리 앰프 모델 라인은 그야말로 하이엔드 트랜지스터 앰프의 구조와 형식을 결정해가는 발전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특성 정밀도와 완벽한 내구성이라는 업무용 기기의 틀을 기본으로 고음질을 담아냈던 당시 마크레빈슨의 독창성은, 그 놀라운 음질력에서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면모에서도 전례가 없는 하이엔드 앰프의 규범을 실현하고 있었다.
19인치 랙마운팅 사이즈 및 슬림라인으로 늘씬하게 마감된 외장 골격과 검정색 아노다이징의 두터운 알루미늄 샤시 구조 그리고 검정 패널에 화사한 화이트 톤의 노브를 조화시킨 특유의 전면 디자인으로 대변되는 마크레빈슨의 오리지낼러티는 그대로 하이엔드 프리 앰프를 상징하는 표본으로서 자리잡게 되었기 때문이다.
spec)MARK LEVINSON LNP-2L \1,180,000(1977年発売)\1,520,000(1982年頃)
機種の定格
型式 プリアンプ
<総合>
構成 モジュール8個による構成
メーター用ピークリーディングアンプ2個
2ch各3個を使った3段アンプ構成
スペア・モジュール・ソケット2個
入力インピーダンス Phono:50kΩ
High Level:11.5kΩ以上
出力レベル Record out1、2、main out:約10Ω
(適合負荷インピーダンス600Ω以上)
最大出力 8Vrms
利得 オーバーオール:60dB
フォノアンプ:30dB(1kHz)
インプットアンプ:20dB
アウトプットアンプ:10dB
ゲインコントロール インプットアンプ:0、5、10、15、20dB
アウトプットアンプ:0、10dB
レベルコントロール インプットアンプに2ch独立Input Levelボリューム:0~-40dB、∞
アウトプットアンプに2連Output Levelボリューム:0~-40dB、∞
トーンコントロール Low:±8dB(20Hz)
Mid:±3dB(5kHz以上シェルビング)
High:±8db(20kHz)
Low・High:2dBステップ、9ポジション
Mid:1dBステップ、7ポジション
<メーター表示>
メーター メーターはWESTON精密級、常時録音出力レベルをモニターする
VUメーターとして 0VU=0.775dB 0dBm
0.387V -6dBmおよび1.228V +4dBmに切換可能
ピークメーターとして 0VU=2.449V +10dB
アタックタイム:5μsec
ピークホールドタイム:約2sec
レスポンス:10Hz~30kHzフラット
HF+ピークメーターとして カセットテープ等低速録音用に20kHzにて+8.5dBの高域プリエンファシス表示
その他はピークメーターとしてと同じ
<その他>
スペア・モジュール・ソケット
を利用して可能なオプション 12ボルト・ファントム電源によるマイクロフォン(ショップスCMCシリーズなど)の接続
出力バッファーアンプの付加
ローブースト回路の付加
電源 AC100V、50Hz/60Hz
消費電力 約20W
外形寸法 本体:幅483×高さ150×奥行206mm
電源部:幅101×高さ101×奥行256mm
重量 本体:4.7kg
電源部:2.2kg


이상 두기종 일괄 810만원 다른 오디오와 절충 교환도 가능 교환가 820만원
단품 문의는 전화 바랍니다,,,
연락처 010-2441-9901

첨부파일

  • z2-.bmp (429.8K) 5회 다운로드 | DATE : 2009-01-25 19:33:3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248
어제
1,916
최대
19,236
전체
11,935,433


게시물의 내용과 개인간 거래에 관련된 모든 책임과 권리는 거래 관련 당사자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