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noy-Kingdom18 & Jeff Rowland Synergy + McIntosh mc275 > 오디오국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디오국산

판매중 Tannoy-Kingdom18 & Jeff Rowland Synergy + McIntosh mc275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손영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75.♡.233.214) 댓글 0건 조회 1,905회 작성일 12-08-14 13:52

본문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하지않음)

회원가입일 : 2008-03-08 (5947 일)
최종접속일 : 2014-01-08 10:16:19

1)Tannoy-Kingdom18
영국 브리티쉬 사운드의 대명사 탄노이의 하이엔드 최고급 라인 Kingdom의 기함급 하이엔드 최고의 존재감 넘치는 고성능 플로워 스텐딩 스피커 입니다.
중고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 귀한 모델 입니다.
기존의 웨스트 민스터 로얄se,,켄터베리se 등의 프리티시즈 시리즈와는 차별화된 Kingdom 시리즈의 디자인 철학은 디지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예를 들면 SACD/DVDA)의 발전에 부응하기 위한 스피커의 성능기술 향상 요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세계 오디오 시장중 가장 까다로운 일본 시장에 처음으로 소개된 Kingdom은 평론가들로 부터하이앤드 스피커 기술의 최고라고 평가되었습니다.
출시후 얼마되지 않아 Kingdom은 일본 스테레오 사운드의 hi-fi 최고의 상인 권위있는 Golden Sound 상을 받았습니다.
기술적인 사항으로는 신개발된 네오디옴 마그넷이 채용된 15인치 듀얼 콘센트릭 동축 유닛을 기조로 최고급 세라믹 에노다이징으로 마감된 알루미늄돔 수퍼 트위터는 초고역에서 청감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선명하고 디테일한 표현을 잘 전달해줍니다.
또한 18인치 대구경 서브우퍼가 탑재되어 킹덤사운드의 완성도를 극한까지 배가시켜 줍니다.
주파수 대역이 16Hz - 44kHz의 광대역을 실현하여 sacd의 원음재생을 극한까지 들려줍니다.
사운드 성향은 기존 웨스트 민트터 로얄등과는 차별화된 클레식에서부터 jazz,,pop등의 전대역을 포괄한 올라운드 성향의 사실적인 속깊은 사운드를 명석하게 표현해주는 대영재국의 권위가 느껴지는 진정한 지존입니다,,,,
장터에 돌지 않은 내외관 민트급의 완벽한 상태 입니다,,,
주요특징)
SuperTweeter
광대역 시스템의 핵심 구성품으로서 주파수 특성을 44khz까지 확장시킴으로써 극히 정확한 해상도를 들려줍니다.
인간 가청 한계보다 두 옥타브까지 주파수 특성을 확장하여 통상적인 청취대역으로 시간과 위상응답을 맞춰줍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운드 스테이지의 사실감이 배가되어 장비의 이미지와 배치를 좋게 해줍니다.
베이스 30khz에 달하는 leading edge transient를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화음은 순수한 톤에 있어서 인간 가청 범위를 넘고 있습니다.
Super Tweeter는 44khz 고주파 대역 까지도 아주 디테일하게 분해하여 청취가가 악기의 전음역에 대한 정보를 경험하도록 해주면서 개별 노트의 leading edge를 정확하게 재생해 줍니다.
The crossover
은도금된 리니어 크리스탈 케이블과 금으로 도금된 바이 와이어링 입력 터미널을 갖추고 있는 크로스오버는 에어가 주입된 인덕터를 갖춘 고효율 진공관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높은 전압과 안정성, 그리고 polypropylene 축전지등과 결합하여 고파워 레벨에서 조차도 다이내믹 레인지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Tannoy사의 Differential Materials 기술은 구성 부품을 공진 흡수재로 포장한 댐핑 테크닉으로서 낮은 절연손실 및 칼라레이션등과 결합하여 성능을 한층 높이고자 채용되었습니다.
축전지의 가치는 그러므로 전 주파수대를 통해 유지되는 반면, 크로스오버 회로 자체는 반향음 차단 시스템을 사용하여 케비넷 내부에 배치시켜 완벽한 부품 보호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수개의 금도금된 고전류 크로스오버 스위치가 포함된 컨트롤 패널이 프런트 배플에 위치하여 최적의 룸매칭을 확보해 주며, Superdualsuptm 고주파와 Supertweeter 에너지 레벨을 5단계의 +/- 3 dB로 과 동시에 SuperDual 주파수의 roll-off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SuperDualTM high frequency section
대형 마그넷 시스템(2.8kg)과 SuperDual 고주파 유닛은 최대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직사각형의 섹션에 위치한 구리로 피복된 알루미늄 보이스코일은 고온에 강한 유리섬유로 에지 라운드 되어 있스빈다.
이러한 제작은 Ferrofluid 쿨링과 더불어 지속적이고 무리없는 고파워 레벨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통일적인 고주파 분산은 고온 polymer관으로 보증되고 있습니다.
SuperDualTM midrange section
페이퍼 콘은 섬유 서라운드가 주입된 트윈 roll phenolic으로 끝 마무리되었으며 강력한 다이어 프레임 섀시는 알루미늄 합금인 LM24M으로 제작되었으며, 이 합금은 복잡한 제조과정을 견뎌내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엄선되어 최고의 파워 레벨에서도 최대의 견고함을 보여줍니다.
Sub-bass driver
각각의 모델이 모든 저주파 정보를 전달하는 보조 베이스 드라이버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저공진 주파수 주조 섀시는 최대의 견고함을 위해 4개의 탄탄한 더블 지주를 채용하였으며, 넓고 은 온도의 보이스코일은 태형 콘의 작동에 관한 전체 콘트롤을 확보해 줍니다.
Kingdom는 초대형 380mm 드라이버 유닛을 활용하여 대역을 놀랍게도 20hz 아래까지 확장시키며, 이 스피커의 50mm 두께의 birch ply 프런트 배플의 저섹션까지 카바하고 있습니다.
Cabinet
인클로져 마감또한 엄격하게 선별된 사이드 페널에 최고급 원목소재인 아메리칸 체리 원목과 전면 판넬에 최고급 나무 소재인 두터운 자작나무 합판을 선택하여 광범위한 내부 브레이싱을 함으로서 인클로우저의 구조적 강도를 대폭 높였습니다.
Kingdom의 프런트 배플은 서브 베이스 주위에 50mm 두께로 얇게 덮여져 있어 케비넷 공진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습니다.
케비넷 뒤쪽에는 베이스 리플랙스 포트가 foam port 댐퍼로 맞추어져 있어 청취환경에 따라 튜닝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spec)
PERFORMANCE
Recommended amplifier power : 20 - 500 Watts RMS
Continuous power handling : 300 RMS
Sensitivity : 92dB (2.8Volts @ 1 metre)
Nominal impedance : 8 Ohms
Frequency response : 16Hz - 44kHz +/- 3dB
DRIVE UNITS
Dual ConcentricTM high frequency : 51mm (2") 64-micron aluminium alloy dome
Dual ConcentricTM low frequency : 320mm (12") treated paper cone and twin roll fabric surround. 76mm (3") voice coil
SuperTweeterTM : 25mm (1") 50-micron deep anodised aluminium alloy dome, neodymium magnet
Supplementary cast chassis bass unit : 457mm (18") treated paper cone and twin roll fabric surround. 76mm (3") voice coil
CROSSOVER
Frequency SuperDual HF to SuperTweeter : 15kHz.
SuperDual MF to HF : 1.1kHz.
Bass to SuperDual MF : 100Hz.
Type Bi-wired, hard-wired passive, low loss.
SuperTweeter : 3rd order high pass.
SuperDual HF : 1st order high pass.
SuperDual MF : 2nd order low pass.
Bass Driver : 2nd order low pass.
Adjustment Dual HF energy : +/-3dB in 5 steps.
SuperTweeter HF energy : +/-3dB in 5 steps.
Dual roll-off from 10kHz : 0dB, 3dB, 6dB per octave.
CONSTRUCTION
Enclosure type Reflex for bass driver, closed box for SuperDual
Volume : 370 litres
Dimensions : 1600 x 1000 x 850mm
Weight : 208kg (458.6lbs)
Finish : American cherry

2)Jeff Rowland Synergy
미국하이엔드 엠프계의 롤스로이스 제프롤렌드의  톱라인의 프리엠프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업작품으로 권위있는 디자인 협회로부터 디자인상을 수상할 정도로 하이엔드지향의 음질에 걸맞는 아름다운 디자인을 동시에 겸비한 하나의 공업 예술품이라 할만한 실질적인 최고의 플로그쉽 모델입니다,,,
메니어들 사이에 인지도가 매우높은 중고 가격대 성능비가 매우 우수한 고성능 하이엔드 프리입니다,,,,
현재도 신형이 새부적으로 개량돠어Jeff Rowland Synergy 2i라는 모델로 나오는 모델로 신품가가 900만원대의 고가의 거래되는 제프롤렌드의 상징과 같은 프리엠프 입니다,,,,
마크레빈슨과 더불어 최강의 하이엔드 오디오 회사인 제프롤랜드의 프리앰프 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오디오 등의 전자제품에 흥미를 느꼈던 제프롤랜드가 취미로 오디오 설계를 해 오면서 제프로랠드는 1980년대 초부터 제프롤랜드의 명성을 얻기 시작하였습니다.
1982년 대형 정전형 스피커로 알려진 SOUNDLAB 에 구동이 어려운 스피커의 앰프를 설계해준 것을 계기로 1983년 제프롤랜드 리서치를 설립하였습니다.
Synergy 프리앰프는 음악과 청취자의 정신적 융합을 목표로, 그리고 상호 고취라는 숭고한 개발이념을 바탕으로 설계한 프리앰프. 그런 바램을 담아 Synergy(연주자와 청취자의 상호작용)라 명명되었으며, 1996년에 등장한 이래 수많은 오디오 평론가들로 부터 지금까지 유례가 없었던 고성능 하이엔드 프리앰프라는 높은 평가를 유지하면서, J. Rowland의 애정으로 개량을 더해 절찬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그 음질은 외부 노이즈에 강하고, 섬세한 신호를 가감없이 그대로 증폭한다는 명제에 대한 회답이라고 평가되었습니다.
주요특징으로는 아나로그 적인 자연스러운 질감 재생을 위해 고성능 최고급 부품인 젠센사의 입력트렌스를 체용하고,,,회로는 완벽한 하이엔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풀 발란스형으로 설계되어 맑고 싱싱한 투명한 사운드가 특징으로 그순발력은 놀라울 정도입니다,,,,
마치 페라리와 같은 고성능 스포츠카 처럼 순식간에 불을 밝히고 굉음을 울리면서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듣한 강력하고 타이트한 저역과 섬새하고 치밀한 중고역이 우수한 좋은 발란스를 지닌 완벽한 하이엔드 프리입니다,,,,,
최고급 알류미늄소재인 8m의 통두랼류민을 정밀하게 절삭 가공하여 마치 보석과 같은 아름다운 공업작품을 보는듣한 본체와 전원부의 2피스 구조로 이루워져 있습니다,,,,,
Synergy는 현존하는 제프로렐드의 최상의 프리앰프 입니다.
제작자 제플롤렌드의 철학인 중용적인 사운드와 여백의 미가 절묘하게 스며있는 심오한 프리엠프입니다,,,,
story-------------------------------------------------------------------------------------------------------------------
오디오적으로 유해한 진동을 최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은 ‘여백의 기술’이며, 화면이 가득 차 있는 서양의 유화에서는 도저히 느낄 수 없는 동양화만의 여운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동양화에 있어 비어있는 공간의 역할과 제프 롤런드가 구사하는 설계 기법은 어딘지 닮아 있다. 제프 롤런드의 구조 격리가 단순한 물리적 격리를 의도한 것이 아니듯이 제프 롤런드가 주목하는 ‘여백의 효용’ 역시 평면적인 부품 배치와 공간 배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구르는 수레바퀴가 쓸모있는 것은 많은 바퀴살이 집중된 중심부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해석이다.”라는 노자(老子)의 교훈은 비어있는 것이 참으로 쓸모있는 부분이라는 공(空)의 효용을 역설한 것이지만, 바로 이러한 관점이 제프 롤런드의 설계관에는 담겨져 있는 것이다.
외장 샤시의 좌우比나 히트싱크(방열기) 두께의 연이은 규격비(比)를 비롯하여 톱 커버 위의 주름 규격비(比) 모두가 0.618이라는 황금분할에 의해서 적용 된 것이며, 심지어는 내부의 부품 배분 및 배선의 엇갈림과 프린트 기판 상의 신호패턴의 분배에 이르기까지 이 황금분할이 고려되고 있다.
이는 특정 주파수에의 자체 공진을 막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보다 고차원의 이념적인 설계 사상에 근거하는 것으로 역시 밸런스를 중시하는 제프 롤런드만이 주목할 수 있는 ‘최적의 조화’를 의미한다. 이 ‘최적의 조화’를 제프 롤런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전기적인 측정치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지만, 절대적으로 이렇게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3)McIntosh  mc275 poweramp
말이 피요없을 정도로 한시대를 풍미한 진공관 파워의 전설적인 부할을 알려준 명기입니다,,,,
메킨의 전설적인 명기 275진공관 파워를 현대적인 방법으로 새롭게 부할시킨 현대판 명기입니다,,,
월래 들어가는 메킨 오리지널 출력관 kt88이 탑재된 275 오리지널 진공관 파워 입니다,,,
체널당 출력은 75W이나 메킨 진공관 특유의 실제적인 파워감이 상당히 우수하여 웬만한 스피커는 여유롭게 울려주는 대출력 고성능 진공관 파워의 대명사라 할수 있는 동사를 대표하는 최고의 진공관 파워라 할수있습니다,,,,
진공관 파워엠프의 마지막을 장식한 오랜 새월이 흘러드 빛을 바라지 않는 최후의 명기라 할수 있습니다,,,,,
장터에 돌지 않은 실사용 기간이 극히 적은 내외관 민트급의 완벽한 상태 입니다,,,,,
story-----------------------------------------------------------------------------------------------------------
1962년 개발, 출시된 이후 Solid State 앰프 시대의 본격 하이엔드 오디오 앰프가 등장하기 직전까지 장장 10여년간 진공관 파워 앰프의 황제로 군림했던 MC 275 파워 앰프는 많은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있어서 선망의 대상이자 꿈의 오디오이었다. 이렇게 명기 중의 명기로 자리잡게 된 MC 275는 실상 전작 75W급 모노럴 파워 앰프인 MC 75를 스테레오화한 모델이다. MC 275와 유사한 디자인의 다운 모델 MC 240 역시 40W급 모노럴 파워 앰프인 MC 40의 스테레오화 버전이다.
왼쪽 새시를 경사지게 한 독특한 구조의 크롬 새시 위에 세 개의 중후한 사각 트랜스포머를 두고 모두 11개의 진공관을 탑재한 MC 275만의 툭유한 디자인은 매킨토시 사운드를 대변하는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영국 G.E.C사의 골드 모나크 KT 88 출력관 네 개를 장착한 오리지널 모델의 호화스럽고 당당한 풍모는 실로 장관이 아닐 수 없다. 당시로서는 75W/CH이라는 엄청난 대출력 특성을 가지면서 풍족한 진공관의 배열과 고급스러운 크롬 마감의 새시까지 보유한 MC 275 파워 앰프는 당대 최고인 동시에 지금까지도 진공관 앰프의 최고봉으로서 위상을 잃지 않고 있다.
ꊴ MC 275의 회로 구성
매킨토시 MC 275 파워 앰프의 회로는 다소 복잡하고 어려운 구성이다. 초단에서는 쌍삼극관인 12AX7(ECC 83)이 전압 증폭을 수행하는데, 이 초단관에는 외래 유도 잡음의 유입이나 험 발생을 막기위한 캡이 씌워져 있다. 두 번째 위상반전단에는 12AU7(ECC 82)이 채널당 한 개씩 사용되고 있으며 캐소드 결합형 회로 구성을 이룬 후 0.047㎌ 용량의 커플링 커패시터를 거쳐 세 번째단으로 연결된다. 세 번째단은 전압 증폭관이지만 다소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는 12BH7으로 구성되며, 이는 다시 네 번째단인 캐소드 팔로워 구성의 12AZ7(ECC 81) 드라이버단으로 연결된다.
MC-275
마지막 최종단인 KT 88 푸쉬풀 출력단이 스피커 시스템을 직접 구동해낸다. 출력단에는 오리지널 모델인 경우 KT 88 출력관 네 개가 사용되지만, 미국제 동등관 6550 네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KT 88이나 6550은 5극 출력관으로서 히터 전압 및 전류가 6.3V, 1.2A이며, 푸쉬풀 구동인 경우 약 450V의 전압을 걸어서 75W의 출력을 끌어낼 수 있다. 오리지널 MC 275인 경우 각 단간의 커플링 커패시터는 미국 스프라그사의 마일러 커패시터인 ‘블랙 뷰티’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 회로부는 베이클라이트 기판에 러그판을 부착하여 완전 하드 와이어링의 수작업 배선만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매킨토시 파워 앰프의 고유한 특성인 출력 트랜스포머에는 일반적인 사양과는 전혀 판이한 Unity Coupled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것은 트랜스포머 전문 회사인 Acme사의 제작품인데, NFB형 권선이 별도로 감겨져 있어서 한 쪽은 접지로 다른 한 쪽은 초단관의 캐소드로 연결되어 있다. 진공관 히터에는 모두 교류 6.3V가 공급되며, 전원부의 설계는 실리콘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미국 말로리사의 30㎌ 및 100㎌ 알루미늄 캔 전해 커패시터 4개에 의하여 직류로 평활하는 동시에 초크 코일을 통해서 리플을 줄여가는 구성이다. 바이어스 전원 역시 실리콘 다이오드와 12㎌의 전해 커패시터에 의해 정류하여 C 전원을 공급한다.
ꊵ 명기의 재현
매킨토시는 1993년 초 엔지니어이자 제 2대 사장을 역임한 Gordon J. Gow를 기념하여 MC 275의 복각품을 다시 한정으로 재생산하여 선보인 바 있다. 따라서 지금은 1962년부터 십년 동안 생산되었던 오리지널 MC 275와 1993년 재생산된 복각 MC 275의 두 가지 모델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오리지널과 복각품은 외장 디자인 및 무게 그리고 기본 회로가 동일하지만, 사용된 일부 부품이나 사양이 다소 차이가 있다.
우선 가장 큰 차이는 본래 언밸런스 입력뿐이며 전부 러그판에 수공으로 하드 와이어링 배선된 오리지널과는 달리 복각품에서는 밸런스 입력 단자를 장비하고 있다는 점과 전압 증폭단에 글래스 에폭시 PCB가 사용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각 모델에서는 일부 진공관이 변경되어 다소 회로의 수정이 있으며, 커패시터류 등의 사용 부품들이 현대화되었다. 또한 복각 모델에 사용된 진공관은 전압관류는 중국제를, 출력관은 미국제 KT 88을 사용하였다.
한편 전원부는 오리지널과 복각 모델의 차이가 거의 없는데, 전원 스위치를 생략한 대신 AC 입력 라인에 Thermistor를 삽입하여 회로가 안정화될 때까지 전원 투입 초기의 전류를 제한하고 있다.
ꊶ 매킨토시 튜브 사운드의 완성
MC 275의 전원을 투입하면 진공관들 각각이 천천히 빨갛게 달아오르고 곧이어 불 빛이 환하게 켜지면서 갖가지 형색으로 크롬 새시에 반사되는 기하학적인 일루미네이션은 참으로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낸다.
마란츠 모델 7 프리 앰프와 더불어 진공관 시대 양대 명기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해온 매킨토시 MC 275는 이처럼 아름답고 찬연한 디자인의 풍요로움과 함께 대단히 호쾌한 울림과 웅장한 음상을 재현하는 고음질력을 겸비하고 있다. MC 275 파워 앰프의 음질은 예전부터 풍만한 음상과 시원스러운 음장이 특징이지만 사용하는 출력관의 종류에 따라서도 재생 음질에 큰 차이가 있다. 최상의 출력관은 영국 GEC사의 골드 모나크(Gold Monarch) 및 골드 라이언(Gold Lion)이며, 다음으로는 미국 Tungsol사의 항아리형 6550을 꼽을 수 있다.
아무튼 선이 굵고 중후한 음색의 질감과 대출력을 앞세운 다이내믹한 에너지감은 오늘날 명기 MC 275의 가치를 대변하는 음질이자 매킨토시 튜브 사운드의 궁극적 완성이라 할만 하다. 물론 매킨토시의 모델 라인에는 초창기 명기들이라 할 MC 30, MC 40, MC 60, MC 75, MC 240 파워 앰프류 등과 1960년대 중반 선보여진 파워 앰프 가운데 6LQ6(6JE6) 출력관을 사용하여 채널당 350W까지의 엄청난 고출력을 유지하는 MC 3500 파워 앰프도 있으나 아무래도 진공관 시대 매킨토시 사운드를 대표하는 간판격 모델은 MC 275 파워 앰프임에 틀림없다.

이상 전기종 일괄 2400만원 다른 오디오와 절충 교환도 가능
단품 문의는 전화 바랍니다,,

010-2441-99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400
어제
1,426
최대
19,236
전체
11,920,652


게시물의 내용과 개인간 거래에 관련된 모든 책임과 권리는 거래 관련 당사자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