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L 001 > 오디오국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디오국산

판매중 JBL 001

작성일 13-01-09 07:37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손영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21.♡.40.41) 조회 1,554회 댓글 0건

본문

JBL 001

JBL 001 시스템과 이에 매칭되는 인클로저들을 가만히 곱씹어 보면 JBL의 전략을 읽어 낼 수 있다.
Platform 전략과 고객 맞춤형 전략을 말이다.
Platform 전략은 모듈화를 통하여 그 모듈의 재사용을 극대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업의 전략을 말한다.
예를 들면 현대기아차는 차의 차체를 크기 별로 개발한 후 이를 현대차와 기아차가 공유한다. 아반테의 자체와 K3의 차체가 같다.
고객 맞춤형 전략은 특정 제품을 판매할 때 여러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이 중에서 고객이 원하는 옵션을 선택해서 완성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JBL이 001 시스템과 이에 매칭되는 인클로저들을 제공한 것은 이 두 가지 전략을 교묘하게 혼합하여 완성한 전략이다.
C Series 인클로저는 Platform이 되어 001, 030 같은 각종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객들은 인클로저 및 각종 스피커 유닛들을 각개로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001시스템은 130A우퍼와 고역 175컴프레션 드라이버 구성의 2Way 구성으로 그 원형을 D1000에서 찾아볼 수 있다.
James B Lansing 은 James B Lansing Sound Inc 시절에 D175 컴프레션 드라이버를 개발했다. 이 드라이버는 1937년 랜싱 801 드라이버에 그 기원을 둔 Altec 랜싱 802를 기반으로 개발한 것이다. 이와 매칭되는  멀티 셀 혼(Multi Cell Horn) H-1000도 같이 개발되었다.
D130은 1946년 D101이 나온 후 James B. Lansing Sound Inc.에 의해 개발된 두 번째의 낮은 주파수를 재생하는 우퍼였다.
그것은 James B Lansing 에 의해 개인적으로 설계와 개발이 되었다.
D130은 4인치 알루미늄 다이어프램을 가진 가벼운 곡선형 콘에 부착된 4인치 플랫 와이어 보이스 코일(Flat Wire Voice Coil)을 장착하여 고주파수 대역 응답을 확장하였다.
이로서 이 우퍼는 권장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2400Hz가 되었다.
코일은 아직 라우드 스피커를 위해 개발된 적이 없는 가장 강력한 영구 자석의 자기장 속에 장착되었다. 그 결과로 뛰어난 감도와 재생 범위 그리고 역동적인 응답을 실현했다.
James B. Lansing은 D175, H1000, D130A, 1200 Hz 로 디바이딩되는 네트워크 N1000을 포함하는 새로운 2Way 스피커 시스템을 출시하고 이 유닛들을 간단한 유틸리티 인클로저 안에 수납했다. 이 시스템을 D1000이라고 불렀다.(표1 참조)
<표1 : James B. Lansing Sound Inc. 시절의 D1000 Series 시스템 구성>
이후 JBL은 JBL의 Trade Mark중 하나가 될 001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130A, 175DLH, 1217-1290혼 N1200이 구성 요소가 된다.
 130A는 D130의 DNA를 가지고 있다. D130을 기반으로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추어 저역의 재생을 개선한 제품이 130A이다.
4인치 보이스 코일, 알리코 V 마그넷 등 D130의 핵심 기술은 130A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D175를 175DLH로 소폭 변경한 후 JBL은 혼을 대폭적으로 바꾸었다. H1000대용으로 1217-1290혼/렌즈를 새로 개발했다.
개발자는 Locanthi였는데 그는 원래 독립 컨설턴트로 JBL과 같이 일을 했다.
이 혼/렌즈는 음 확산 장치 유형의 최초의 상용 제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개념은 이후 30년 동안 JBL의 혼 제품 군의 핵심 기술을 형성했다.
음향 렌즈는 원래 Winston Kock과 FK Harvey가 1949년 벨 연구소에서 개발했지만 그 당시 상용화되지는 않았었다.
Westrex(웨스턴 일렉트릭의 전 국제 부문)의 존 Frayne 박사가 AT&T의 오리지널 제품의 발전을 증진하기 위하여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Locanthi 함께 일했다.
그들은 그들의 노력을 기꺼이 상용화하려 파트너를 JBL에서 발견했고, JBL ‘Koustical’렌즈는 1952년 출시되었다.
이 혼/렌즈의 최대 장점은 H1000에 비해서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130A와 같이 컴팩트한 배플에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내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001이라는 명칭이 처음 쓰여진 것은 1955년 Catalogue다.
www.lansingheritage.org에는 1952, 1953, 1954년 카탈로그가 게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1955년 전에 001 시스템이란 명칭을 사용했는지 여부는 알지 못하겠다.
다만 001 시스템의 유닛들이 1952년에 개발 완료되었기 때문에 이 해에 001 시스템이란 명칭이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다.
시스템 명칭이 있는 이유는 JBL이 인클로저와 유닛을 별매 했기 때문이다.
JBL Catalogue를 보면 인클로저와 유닛의 가격을 각각 게재하고 있다.
001 시스템이 수납된 인클로저를 정리해 보았다. 표2를 참조하기 바란다. 정리하고 나서 001 시스템이 쓰여진 인클로저 종류를 세어 보니 14개나 되었다.
JBL의 고객 맞춤형 전략이 얼마나 다양하게 전개 되었는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001 시스템의 마지막을 장식한 Verona가 1970년대 초반에 출시 되었음을 감안해 보면 20년 이상 Long Run한 조합임을 알 수 있다.
주1) 인클로저 사이즈는 JBL Catalogue를 보고 정리했음. Catalogue상 글자가 작아서 잘못 읽었을 가능성도 있으니 틀린 것은 덧글로 지적 바랍니다.
주2) 발매 년도는 001 시스템 발매 년도다. 인클로저 발매 년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C71 Verona는 1971년에 출시 되었다.
인클로저 관련 몇 가지 기억할 만한 사항이 있다.
C35와 C37은 컨셉이 동일한 인클로저이고 C35가 세로형, C37이 가로형이고,
C36과 C38도 컨셉이 거의 같은 인클로저이고, C36이 세로형, C38이 가로형이다.
C51은 Apollo라고 부르며 C50 Olympus의 소형화 버전이고,
C61은 Sovereign 2라고 명명되었으며 C60 Sovereign을 축소한 것이다.
JBL은 1950년대부터 인클로저에 명칭을 붙이기 시작한다.
제품 명에 이름을 붙인 것을 Pat Name이라고 하는데
현재도 널리 쓰이는 마케팅 기법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 이름을 쉽게 기억하고 친근감을 갖게 하려는 전략이다.
1955년 또는 그 이전에 C30 Hartsfield가 처음 명명되었고,
1956년 C39에 Harlan이라는 이름이 부여되었고,
1957년 C40에 Harkness라는 이름이 부여되었고,
1962년 카탈로그에는 C50 Olympus, C51 Apollo, C52 Opus라는 이름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958,1959,1960,1961년 카탈로그는 lansingheritage사이트에 게재되어 있지 않아서 그 전에 이름이 부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1966년에서 1967년에 걸쳐 대부분의 C Series 인클로저는 고유의 이름을 갖게 됐다.
JBL은 001 시스템을 위와 같이 14개의 인클로저에 적용도 했지만 또한 한 인클로저 안에 여러 시스템을 채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C35에는 030 시스템(D130+075+N2400)도 같이 쓰였다.
따라서 우리가 정확히 1960년대 JBL 스피커 명칭을 부르려면 인클로저 명칭과 시스템 명칭을 같이 불러야 한다.
예를 들면 C35 001시스템 처럼.
JBL 001 시스템이 가장 많이 쓰인 인클로저를 꼽는다면 C34와 C40이 될 것 같다.
둘 다 Back Loaded Horn으로 만들어져 130A의 부족한 초저역을 어느 정도 보완해 주었다.
001 시스템의 최대의 장점은 뛰어난 밸런스이다.
스피커는 대역 분할이 늘어날수록 장점과 단점이 극명하게 나타난다.
각 대역의 재생은 충실해 질 수 있지만 그 반대 급부로 밸런스를 맞추기가 어렵게 된다.
001 시스템은 풀레인지와 와이드 레인지의 중간에 위치하는데 130A와 175DLH의 환상 궁합으로 완성도 높은 시스템으로 탄생했다.
초저역과 초고역을 재생하지 못하지만 저역, 중역, 고역은 충실하게 재생한다.
130A는 고역 Crossover는 1200Hz, 175 드라이버의 저역 Crossover는 1200Hz로 하등의 낭비 없이 연결되었다.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하지않음)

회원가입일 : 2008-03-08 (5958 일)
최종접속일 : 2014-01-08 10:16: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