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W Nautilus™ 801d speakers & Jeff Rowland Model 8sp power amp > 오디오국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디오국산

판매중 B&W Nautilus™ 801d speakers & Jeff Rowland Model 8sp power amp

작성일 08-12-26 10:09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손영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21.♡.41.182) 조회 8,293회 댓글 0건

본문

영국의 유명한 하이엔드 스피커 재조사로 명성이 높은 b&w의 플러그쉽 최고라인 스피커와
Jeff Rowland의 최고급 하이엔드 스테레오 파워엠프 Jeff Rowland Model 8sp power amp의 이상적인 하이엔드 메칭입니다,,,,,,,,,
마치 고성능 스포츠카인 페라리를 타는 듣한 스릴을 느낄수 있는 매력 넘치는 하이엔드의 극한을 보여주는 레퍼런스적인 조합으로 린 특유의 존재감 넘치는 사운드로 하이스피드하고 밀도감 넘치는 강력한 스피커 드라이빙 능력으로 특유의 미립자 같은 순도높은 맑은 가을하늘 처럼 청명한 사운드를 바탕으로 Nautilus™ 801d이 모니터적인 냉철하고 정확한 시각으로 예술적으로 표현합니다,,,
마치 악어와 악어새 같은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행복한 조합입니다,,,,,,,

1)B&W  Nautilus™ 801d speakers- B&W의 플래그쉽 모델인 Nautilus™ 801d는 동사를 대표하는 실질적인 최상의 하이엔드 플로워 스피커 입니다,,,,
프로페셔널 현장에서도 세계최고의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클레식 모니터로도 유명한 모델입니다,,,
현재 발매되는 최신 모델로 우수한 음질과 고성능으로 인해 아직 중고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 귀한 스피커 입니다,,,,
기존의 구형 노틸러스 801과는 차원이 틀린 고차원의 광대역의 초 미립자의 고해상도와 정교 치밀한 사운드 스테지를 들려줍니다,,,
음질 특성은 동사특유의 모니터 적인 분석적이고 섬세한 표현을 기조로하여 클레식과 jazz 서로 상반된 요소의 음악을 이질감 없이 정확하게 표현하는 어른스러운 스피커 입니다,,,
인클로져 표면이 체리마감으로 매우 중후하고 고급 스러운 자태 입니다,,,
*기존 노틸러스 801과의 차이점*
아마6년간 판매된 노틸러스 801의 유저는 상상 이상으로 많을 것이다. 그들의 입장으로 801D의 등장은 단순히 신제품의 출현이 아니라 대사건일 것이다.
외관은 닮았지만 알맹이는 크게 진화.
새로운 800시리즈의 보도 자료에는 포르셰911 역대 모델을 집합시킨 사진이 있다. 똑같은 '개구리 얼굴'911이 많이 늘어서 있는데 이를 예로 들어 새로운 800시리즈 또한 '외관은 닮았지만 내용은 크게 진화했다'라고 B&W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 디자이너인 모튼 워랜 씨가 "왕자에 앉은 왕의 위엄을 나타내고 싶었다"고 말하는 노틸러스 801의 디자인에서 801D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801이 자택에 있는 유저,일로서 801을 매일 사용하는 프로가 봐도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없을 정도다. 801D는 인클로저의 용적이 약10% 늘어나 키가 좀더 크고 중량은 104KG에서118KG 증가했다. 노틸러스 801과801D의 380mm 구경 우퍼를 떼어내 바닥에 놓고 비교해 보았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프레임, 거대한 자기 회로는 공통적이지만 진동판의 차이는 명백하다. 케블러 직물을 혼입시킨 페이퍼 콘에서 이번 801D의 콘은 발포 소재를 카본파이버 크로스로 끼워 넣은 샌드위치 구조로 두께가 약10mm 정도다.
콘 자체가 구조체이므로 강도의 향상은 비약적이고 이 두꺼운 3층 구조의 콘은 차음에도 공헌하고 있다. 음량을 높이면 바닥과 벽이 음압으로 진동할 정도라서 방의 용적보다 매우 작은 내용적 인클로저 내부에서는 음압의 폭풍이 생겨 잡음이 발생한다.
스피커를 자작한 사람이라면 경험이 있을텐데 읍음재 재질이나 양에 따라 음이 달라진다. 우리는 인클로저 안의 음도 듣고 있는 것이다. 맹장지(盲障지,햇빛따위를 막기 위하여 안팎에 두거운 종이를 겹으로 바른 장지)를 통해 이야기가 들리는 것과 같은 이치인데 의외로 사람들에게 잊혀진 사실이다. B&W에서는 일찍이 오리지널 노틸러스의 소음(消音)구조에 의해 이것을 의식하고 새로운 800시리즈에서는 우퍼 콘의 강도를 올림과 동시에 차음성도 높였다(805S는 제외)
노틸러스 801의 우퍼를 다시 한 번 만져봤다. 콘을 꾹 눌러봐도 어떻게 이렇게 강할 수 있을까 생각될 정도로 콘은 움직임이 없다. 인클로저의 배압이 스프링으로 되오 콘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우퍼를 떼어 바닥에 놓고 조사했다. 어째서 이렇게 움직이지 않는 걸까?
그리고 트위터의 돔에는 드디어 다이아몬드가 채용되었다. 뛰어난 고음역 특성의 트위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매우 가벼운 진동판(진동막)으로 진동이 잘 되게 하여 고음역 특성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리본이나 콘덴서형 트위터가 이에 해당한다. 두번째는 초고음역 특성은 욕심내지 않고 가청대역 내에서 가능한 요철 없이 얌전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프트 돔 트위터, 그리고 세 번째는 딱딱하지만 가벼운 소재라 고가이고 가공하기 어려운 단점에도 불구하고 채용하는 챔피언적인 트위터가 있다. 알루미늄,티탄은 당연하고 마그네슘,카본그라파이트,붕소(Boron),세라믹 등이 사용되어온 트위터 돔 소재였지만 B&W에서는 2000년 처음으로 베릴륨 돔을 테스트했다. 소구경의 슈퍼 트위터도 시험 제작했다. 그러나 슈퍼 트위터를 탑재한 4웨이는 네트워크가 복잡하게 되어 트위터와의 음향적인 간섭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보류했다고 한다.
B&W는 단순히 초고음역 특성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가쳥대역의 특성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가청대역의 특성을 좋게 만들고 싶었다. 그렇기 때문에 801D는 노틸러스 801 같이 3웨이인 채로 두고 트위터 돔에는 드디어 지상 최강 물질인 다이아몬드를 채용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다이아몬드 돔은 강한 힘을 가하면 깨져 버린다. 두께가 40미크론으로, 즉 25장을 겹쳐야 겨우 1mm가 되는 얇은 돔이다. 다이아몬드 돔으 공급원인 영국 회사에서는 한 가마에서 한 번에 일곱장의 돔을 만든다고 한다.
제작에는 몇시간이 걸릴까? 답변은 수일이 걸린다는 것. B&W 사내 데이터에 의하면 알루미늄 돔에서는 고음역 공진이 겨우 30kHZ인데 15kHZ 등 가청대역에 비트다운해 사각사가하는 음의 착색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돔의 고음역 공진은 70kHZ이기 때문에 이것을 비트다운해도 가청대역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생성 직후의 다이아몬드 돔은 매우 검어 마친 티탄 같은 색이다. 그것에 특유의 막상이 나타난다. B&W 는 다이아몬드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가공하고 싶었다고 한다표면에 극히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는 금 또는 플래티늄이다. 다이아몬드 돔이 금색이라면 어울리지 않아서 플래티늄을 코팅해 옅은 은색으로 발색하는 다이아몬드 돔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음악을 생생하고 입체적으로 떠오르게 한다.
시청실에서 801D가 울리자 저절로 숨이 멈춰진다. 이미 노틸러스를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 한편으로 안타까웠지만 801D는 실로 대단하다. 이것으로 잠자고 있는 아이들이 모두 깨어 날듯 하다. 노틸러스 801과 시그너처 800을 듣기 시작해 첫10초간 느낀 미드레인지의 메마른 느낌(그것은 케블러 냄새의 음)801D에는 없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미드레인지 유닛은 지금도 케블러 콘이지만 B&W의 개발진은 미드레인지의 음이 보다 투명하게 된 것에 대해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 채용한 특제 콘덴서 효과라고 분석한다. 수입한 것을 바로 시청실에 가져왔지만 801D는 아무래도 에이징이 필요 없는 것 같다. 신품인데도 음은 어떤 걸림도 없고 극히 부드럽다. 고음이 날카롭지 않은 것은 다이아몬드 트위터의 위력일 것이다. 날카롭기는 커녕 시청 메모에 '트위터 없음'이라고 썼을 정도이다. 이 트위터는 마치 공기가 직접 울리는것 같이 허망할 정도로 존재감이 없다. 즉 어쿠스틱 악기에 발군으로 클래식 음악 팬에게는 알맞은 스피커이며 짙은 음의 앰프로 구동하면 재즈는 흥겹고 뜨겁게 들려준다.
대음량 재생에도 음이 전혀 스트레스 없이 들린다. 아니,스피커 이전에 방이 음압에 지게 될 것이다. 인클로저 또한 음에 존재감이 없다. 상자 인클로저 특유의 음도, 저음의 탁함도 들리지 않는다. 초저음역에 걸쳐 깊은 중저음은 마치 바람 같다. 깊고 낮게 뻗고 있는데도 저음역의 울림새의 뛰어남은 왕년의 가벼운 콘의 명품이 빚어내는 섬밀한 하이스피드의 저음을 생각나게 한다. 그것은 풋워크가 좋은 저음이다. 극히 와이드 레인지해서 음악을 생생하고 입체적으로 떠오르게 표현한다. 그러나 눈앞의 스피커는 서브우퍼가 달린 4웨이가 아니라 3웨이인 듯하다. 기억으로 상급기 800D와 비교해 보니 L과R의 케이블을 교차시켰는지 아닌지 민감하게 반흥하는 것은 800D쪽이다 800D는 하이엔드 오디오 파일의 마음을 자극하는 도전 상대다.
한편801D는 모니터 스피커라는 무뚝뚝함이 없고 울림새는 특히 저음역이 낙천적이라고 말할수 있다. 몇번이나 지갑을 빈털터리로 만들어야 파워앰프 선택이 끝날지, 언제까지 튜닝하면 제대로 들려줄 것인지 기대 되는 것이 800D라면 그보다는 사귀기 쉬운쪽이 801D다. 어찌 됐든 잠자고 있던 오디오파일들을 고민에 빠뜨릴 스피커가 등장한 것이다.
[spec]
형식 3웨이 베이스 리플렉스 시스템
재생 주파수 대역 29Hz ~ 28kHz(±3dB) 
드라이버 25mm (1in) 다이아몬드 돔 트위터,150mm (6in) 케블라 콘(Kevlar? cone) FST 미드레인지,1 x 380mm (15in) Rohacell? 콘 베이스 
허용입력 50~1000W(8 Ω) 
임피던스 8Ω (최소 3.5Ω)
음압 90dB spl (2.83V, 1m)
사이즈(W,H,D) 1192 x 506 x 682mm
무게 125kg
신품동의 초민트급 상태입니다,,,,
신품 판매가 2500만원

2)Jeff Rowland Model 8sp-미국의 하이엔드 오디오의 롤스로이스라는 닉네임이 잘어울리는 초고가의 하이엔드 엠프 재조로 유명한 제프 롤런드의 가장 최상급기인 9을 스테레오 버전화 한 것이 모델 8 시리즈 입니다. 구형 모델에서 개선된 점은  내부의 와이어링과 전원트랜스의 장착 방법을 바꾼 8sp 입니다,,,제프롤렌드의 아이덴티인 황금 분할이론에 입각하여 설계된 모델로  앰프 섀시가 하이엔드 오디오에 체용되어 호평받고 있고 최첨단 고분자 금속소자인 두터운 통 듀랄루민을 미국의 군용장비나 첨단 산업용품 가공사로 유명한 버턱사에 의로하여 정밀하게 절삭가공되고  상판을 보다 고강성화 함과 동시에 사운드의 레인지감을 보다 광대역화 하였습니다. 음색적으로 따지면 중립적인 톤에 가까운 편이고 저역에서 귀에 쏙 들어올만한 펀치감은 아니지만 스피커 구동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 할 정도로 드라이브 능력도 뛰어나지만 크게 의식하게 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질감을 중시하여 만든 연출력이 돋보이는 파워앰프입니다.
체널당 250w+250w의 강력한 스피커 드라이빙 능력으로 지구상에 공존하는 왠만한 하이엔드 스피커는 여유롭고 유연하게 울려주는 항공 모함급의 매력넘치는 대표적인 파워엠프 입니다,,,,
메칭이 좋은 스피커로는 위에소개한 B&W  Nautilus™ 801d speakers와의 조합이 우수합니다,,,,15인치 대구경 우퍼를 풋워크가 가볍게 리듬을 타고 단단하고 밀도감 높은 음상을 유연하게 그려 냅니다,,,  정교치밀한 사운드를 진공관 음색과도 유사한 질감의 재프롤렌드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하이엔드적인 피가 통하는 아나로그 적인 중후하고 유연한 완성도 높은 고품위의 사운드로  이끌어 줍니다,,,,
그밖에 다인오디오,,던텍이나 던래비 , 윌슨오디오, 틸 등과 매칭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수한 하이엔드 성능 이상으로 존재감 넘치는 타사 하이엔드 재품과 차별되는 전면판넬의 타사의 하이엔드 라인과 차별화된 황금분할 이론이라는 과학적인 데이타를 근거로 만들어진
재작자 제프롤렌드의 이상을 구현시킨 독특한 은은한 광체가 빛을 발하는 진정한 하이엔드 파워엠프 입니다,,,,
위에 소개한 과 비슷한 포름의 고급 스러운 디자인으로 음질과 디자인 두가지 콘샙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아름다운 하이엔드 조합임을 보장합니다,,,,,

이상 두기종 일괄 1770만원 다른 오디오와 절충 교환도 가능 교환가 1800만원
단품 문의는 전화 바랍니다,,,
연락처 010-2441-9901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하지않음)

회원가입일 : 2008-03-08 (5936 일)
최종접속일 : 2014-01-08 10:16: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