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L Pro 4344 MKII & pass x350 + Mark Levinson No.38L > 오디오수입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디오수입

 

판매중 JBL Pro 4344 MKII & pass x350 + Mark Levinson No.38L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alman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21.♡.40.78) 댓글 0건 조회 1,460회 작성일 13-02-15 22:35

본문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하지않음)

회원가입일 : 2008-03-08 (5958 일)
최종접속일 : 2014-01-08 10:16:19

1>JBL Pro 4344 MKII 
미국의 하이엔드 스피커 jbl의 대표적인 최신형 프로페셔널 스튜디오 모니터의 레퍼런스적인 모니터 스피커 입니다.
중고 매물이 잘나오지 않는 귀한 모델로 신품 발매가가 1600만원대에 이르던 jbl의 아디덴티티가 강하게 느껴지는 고성능 스피커 입니다.
구형 4344와 달라진점은 유닛이 일반 페라이드  마그넷이 아닌 네오디옴 275nd 고성능 컴브레이션 드라이버가 탑재되어 에서 자속밀도가 매우 강력해 졌습니다.
또한 우퍼 에지가 마모가 안되는 영구에지로 개선이 되어졌습니다.
네트위크도 음질열화가 생기지 않게 밧데리 구동이 되는 점이 큰특징입니다.
사운드 또한 주파수 대역이 좀더 넓어지고 정숙하고 순도높은 모니터적인 단정하고 중립적인 사운드가 큰 매력입니다.
jazz,,pop,,클레식을 포함한 올라운드 성향의 스피커로 소리 들어 보시면 감동 받으실 겁니다.
오랜 새월이 흘러도 가치가 변하지 않는 진정한 스튜디오 모니터의 최고의 명기 입니다.
장터에 돌지 않은 원주인 소유의 내외관 민트급의 완벽한 상태 입니다.
spec)
低域用、38cm ME150HS、
中低域用、25cm 2123H、
中高域用、275Nd 、
高域用、2405H 搭載。
外形寸法 幅635×高1051×?行383(435)mm
重量 81.9kg。
story-------------------------------------------------------------------------
수 많은 메니어들 사이에 이미 실력이 검증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메니어 지향의 명기 스피커 입니다.
JBL은 과거 아날로그 오디오의 황금기에 영국의 탄노이와 더불어 세계의 사운드를 양분해온 미국의 대표적 스피커 브랜드이다. 그러나 사실 JBL 본래의 성가는 주로 프로용 분야의 업무용 스피커 시스템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실상 하이파이 분야의 명성은 미국 본토에서보다 일본 등지에서 모니터기가 눈부시게 활약한 성과에 힘입은 바가 크다.
과거 스튜디오 모니터 용도로 개발된 43시리즈의 하이파이 전용과 지속적인 성공은 근래에도 M 및 S 시리즈의 도입으로 이어져서 디지털 오디오 시대로 접어든 지금도 JBL의 위세가 당당함을 확인시켜 준다. 그런데 이처럼 JBL 모니터 시스템 유행의 바탕이 되었던 4344는 발매 이래 무려 15년이 넘는 최장수 모델로서 유례없는 베스트셀러로서의 인기를 모았던 명기 중의 명기이다.
이제것 JBL 4344의 실력과 가치는 새삼 말할 것도 없이 오디오 애호가들 전반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CD의 등장과 보급을 기반으로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그 재생 음역과 음질의 한계도 있겠으나 업그레이드 버전인 JBL 4344 MKⅡ가 발매된 이후에도 국내 시장에서는 계속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JBL은 이미 모니터기의 신 모델로서 JBL M9500을 필두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라인업을 선보여왔지만, 기존 JBL 4344의 성가와 비교하면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애초에 녹음용 스튜디오 모니터에서 출발한 4344는 하이파이 모니터로서 발군의 음장과 섬세한 음질을 인정받으면서 가장 널리 사랑받아온 스피커 시스템의 하나가 되어왔다.
그동안 4344만의 독특한 매력은 클래식과 팝, 재즈의 장르를 가리지 않는 소화력과 시원스럽게 내뻗는 울림 그리고 치밀한 해상력 등으로 집약되는데, 이러한 장점은 지난날 모니터 시스템의 특유한 특성이자 아날로그 사운드가 갖는 고유의 성향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다.
? JBL 43 시리즈의 신화
4344, 아날로그 시대의 명기이다.
1946년 출범했던 JBL은 LP의 하이파이 시대가 도래한 이후ALTEC 및 EV와 더불어 아날로그 사운드의 중핵으로서 웨스턴 일렉트릭(WE)의 본류를 계승함으로써 가장 미국적인 스피커 사운드 중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듯 ALTEC과 EV를 포함하는 구시대 미국 사운드의 전형으로서 그 중심부에 JBL이 동참해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업무용 분야가 아닌 하이파이 스피커 부문에서는 지금까지 JBL만이 하이파이 사운드의 실세로 확고부동한 입지를 차지해왔다. 이것은 무엇보다 1970년대 이후 업무용 모니터 시스템류인 JBL 43 시리즈의 눈부신 활약과 하이파이 시스템으로의 성공적 변신이 결정적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래 JBL의 프로용 모니터기의 첫 번째 모델은 1962년 발매하였던 JBL C50SM로서, 이는 38 cm 구경 우퍼를 채용한 2웨이 밀폐형 시스템이었다. C50SM 으로서 시작된 JBL의 모니터 시스템 개발은 10년 정도 지난 197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 스튜디오 녹음용 모니터인 43 시리즈의 연속 출시로 이어지게 된다. 1970년 역시 2웨이로 소개되었던 JBL 4320 시스템이 바로 그 유명한 43 시리즈 신화 탄생의 발판이 되었는데, 이는 다시 1973년 광대역 고특성화를 추구하는 4웨이 방식의 첫 모델로서 JBL 4350의 출시로 연결된다. 특히 JBL 4350은 더불 우퍼를 채용한 4웨이의 대형 모니터 시스템으로서 업무용 분야에서는 그 평판과 성가가 대단했던 모델이기도 하다.
JBL은 대형 모델 4350의 성공을 기반으로 1974년에는 싱글 우퍼 시스템으로 변형한 JBL 4341을 발매하는데, 이것이야말로 후에 불후의 명기로 등장하게 될 JBL 4344의 구조 설계에 있어서 기본적 골격 기틀을 제공한 모태가 되었다.
JBL 4341의 개발은 1976년 다시금 JBL 4343의 출시로 변형되어서 이후 프로용 모니터기로서 JBL 4343은 장기에 걸쳐 상당한 호평과 애호를 받게 되었다. 이처럼 부단한 JBL 43 시리즈의 성공적 발매와 세계적 인기에 따라 드디어 JBL 43 시리즈의 신화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 JBL 4344의 대 성공
1976년 JBL 4343의 등장에 이르도록 43 시리즈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업무용 녹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유행된 것이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프로용으로서의 용도에 국한되었을 뿐이다. 그런데 이같은 43 시리즈 성공에 더 한층 불을 붙이게 된 것은, 일본의 오디오 애호층 저변을 중심으로 JBL 4343이 하이파이용으로 전용되기 시작했던 이색적인 유행이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JBL 4343이 업무용 모니터로서만이 아니라 하이파이용으로서도 상당한 인기를 모았던 까닭에 1982년 JBL 4343을 더 한층 발전시킨 모델로서 JBL 4344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JBL 4344는 발매 이후 일본 내 최고의 베스트셀러로서 인기를 한 몸에 모은 결과 한 때 일본 오디오 파일들의 규범적 레퍼런스로서까지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JBL 4344의 롱런은 근래에 JBL 4344 MK2가 등장하기까지 무려 15년이란 장수를 누리며 아날로그 모니터 사운드의 황제로서 군림하면서 JBL 43 시리즈의 정상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본래 미국 내에서는 43 시리즈의 어느 모델이든 가정에서 하이파이용으로 사용되는 일은 극히 드물어서, 어디까지나 JBL 4343 및 4344의 하이파이 전용은 일본의 오디오 전문가들이나 애호가들의 집요한 노력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43 시리즈를 설계한 JBL에서조차 초기에는 하이파이 전용에 대하여 상당한 의문을 가졌던 듯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BL 4343과 4344의 일본 내 인기가 장기화되자 마침내 JBL 사내에서도 하이파이로의 사용을 적극 고려하게 되었다. 결국 JBL 4344의 인기는 일본 내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동남아나 우리 국내에서도 꾸준한 애호가 지속되었던 때문에 JBL 역시 4344의 하이파이 전용을 간과할 수 없었음에 틀림없다. 아무튼 디지탈 오디오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는 지금 JBL 4344가 재생하는 음질은 분명 아날로그 사운드의 완성에 머물고 있음이 자명하다.
? JBL 4344 시스템의 구성 특성
독특한 외형관 달리 훌륭한 사운드를 보여준다.
JBL 4344는 기본적으로 대형 플로어 타입의 4웨이 시스템이며 전면 포트를 활용한 베이스 리플렉스의 위상반전 저음강화 시스템이다. JBL 4344의 드라이버 유닛 구성을 보면, 고역 트위터, 중고역 미드 하이, 중저역 미드 베이스, 저역 우퍼의 4웨이 구성이다. 우선 2405H 다이어프램 트위터로서 초고역 상한부를 재생하고 있으며, 중고역 미드 하이부는 페라이트 마그넷의 5cm 구경 2426H 드라이버와 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닛에 외부에서 음향렌즈로서 매직 테이프 형태로 부착하게 되어 있는 11매의 디퓨저가 부착된다.
중저역의 미드 베이스는 롤타입 에지를 사용한 25cm 구경의 2122H 콘형 우퍼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저역 우퍼는 4점 부착 38cm 구경의 2235H 콘형 우퍼가 채용되어 있다. 베이스 리플렉스의 저음 강화를 위한 위상 반전 포트는 배플면 한 쪽으로 2개 배치하였으며, 중고역부 3 유닛의 레벨 조절용 어테뉴에이터는 연속시킬 수 있는 가변 범위가 비교적 넓게 되어 있다. 시스템의 공칭 임피던스는 8옴이며 출력 음압은 93dB이다. 한편 각 음역을 분할하는 크로스오버 포인트는 320Hz, 1.3kHz, 10kHz이다.

2>pass x350 power amp
새계적인 하이엔드 엠프 브렌드 미국의 pass x350 power amp 파워엠프 입니다.
스테레오 파워엠프로서는 동사의 대표적인 최고의 레퍼런스 파워엠프 입니다.
우수한 음질과 지구상에 공존하는 어떠한 하이엔드 스피커와의 메칭이 완벽하게 보장되는 강력한 스피커 드라이빙 능력과 정교 치밀한 분석력으로 인해 메니어들 사이에 높은 호평을 받고 있는 진정한 실력기 입니다.
미국의 앰프 설계의 천재라 일컬어지는 "넬슨패스"의 완성도가 매우 높은 혼이 깃든 작품과 같은 존재감 넘치는 실력있는 파워엠프 입니다.
Aleph 시리를 처음 설계한후 그의 앰프 설계의 역량과 작품성은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TR앰프임에도 A급방식의 설계를 통하여 감미롭고 부드러운 음색적인 질감과 더불어서 TR의 장점인 스피드/투명함/파워핸들링까지 접목시킨 그의 설계기술에 많은 사람들은 그를 주목하기 시작 하였습니다.
안정된 전원부와 견고한 섀시 수준높은 구동력은 PASS의 역량이 주목되는 기점의 하나의 요소라고 볼수 있습니다.Aleph 시리즈의 성공으로 이후 X시리즈,XA시리즈 등의 새로운 모델들이 출시 되었습니다. 초창기의 알레프 시리즈 이후로 출시된 그의 제품들은 예전 모델못지 않은 인기와 찬사를 받아 왔습니다.
넬슨패스의 역량과 혼인 담긴 그의 앰프설계의 철학과 정신은 이미 전세계 많은 유저들로부터 사랑과 관심을 가지며 사용을 하고 있고 모두 그의 일로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높은 구동력/밸런스/스테이징/감미롭고 감칠맛 나는 TR앰프를 생각하신다면 앰프설계의 천재라 일컬어지는 "PASS"를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한순간의 선택은 넬슨패스의 혼이담긴 그의 음악에대한열정과 앰프에 대한 사랑을 조금이라도 느껴볼수 있는 선택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패스가 추구해온 A급 증폭의 음을 한층 더 갈고 닦으면서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까지 실현. 슈퍼 시메트리(Super-symmetry) 회로를 채용한 스테레오 기기의 최고봉. 구동하기 힘든 스피커까지 무리 없이 드라이브하는 빼어난 구동력과 빠른 반응 , 예리하면서 산뜻한 음 에 매료됩니다.
참고로 현재 약간의 개량이 가해진 신형 모델인 pass x350.5 power amp모델이
1500만원대의 고가에 발매되고 있습니다.
평론---------------------------------------------------------------------------------------------------------------------
패스만의Pass 차별화된 절대적 가치
이제는 하이엔드 앰프 전문 브랜드로 성장한 만큼 개발자의 명함을 뛰어넘어 제품을 경쟁력으로 내세워도 충분할 것이다. 끝으로 스테디셀러로 선정된 이유에 대해 한마디로 요약해 본다면 패스 X350는 X 시리즈와 XA 시리즈의 장점을 모두 내포한 파워 앰프로 패스를 대표할 만한 명기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는 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스테디셀러 선정에 빠질 수 없는 앰프 브랜드라면 당연히 패스일 것이다. 전통적인 하이엔드 브랜드에 비해 역사가 오래되진 않았지만, 창립 당시부터 많은 관심으로 출발하여 짧은 기간 동안 제품의 가치를 확고히 한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과연 패스를 생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를까? 먼저 미국의 앰프 설계분야에서 천재라고 불리는 넬슨 패스의 작품을 꼽을 수 있다. 그렇다면 넬슨 패스가 누구인가? 그는 패스 이전에 스레숄드의 앰프들을 설계했고, 1991년 패스 설립 후 알레프 시리즈를 시작으로 X, XA 시리즈 등 수많은 앰프들을 설계해 온 앰프 디자이너 계의 대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명성 이외에 패스 앰프는 꾸준히 베스트셀러로 선정될 만큼의 매력을 지니고 있다. 과연 패스 앰프의 매력은 무엇이기에 꾸준한 사랑을 받는 것일까? 많은 특장점들이 있겠지만, 간략히 몇 가지로 압축해서 되새겨 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제품 외관 디자인의 우수성을 말하고 싶다. 과거의 알레프 시리즈는 마치 히트싱크로 둘러싸인 금속 덩어리라는 느낌이 강했지만 지금의 패스 제품들은 어느 브랜드 못지않은 세련되고 고급스런 이미지로 가득하다. 알루미늄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진 전면의 이중 패널과 원형의 대형 미터가 인상적이다. 음악 신호에 따른 VU 미터가 아닌 바이어스 레벨 미터로 장착되어 있으며, 은은한 블루 라이팅을 통해 더욱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한다. 농담이지만 매킨토시와 같은 VU 미터였다면 패스의 경우 오히려 차분함 없는 사운드를 재생하는 느낌이었겠지만, 바이어스 미터를 통해 중후함과 무게감을 제공하여 사운드에 있어서도 안정적인 느낌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대형 알루미늄 패널은 고정밀의 인스트루먼트 그레이 알루마이트 가공을 통해 금속성의 느낌을 강조하고 있다. 마치 샌딩 처리를 해놓은 듯한 거친 표면의 마감 처리 역시 제품을 가볍게 보이지 않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측면의 대형 발열 장치인 히트싱크의 배치와 함께 고출력 앰프로서의 웅장함과 세련미를 동시에 갖춘, 고급 디자인을 강조하여 소유욕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런 패스의 고급스런 디자인에 매료되어 제품을 선택하는 오디오파일도 적지 않을 것이다.
두 번째로 앰프의 설계 기술이다. 서두에서도 언급했듯이 앰프의 거장 넬슨 패스의 작품인 만큼 평범하지 않는 견고한 설계가 이루어졌는데, 고출력 트랜지스터 앰프임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A클래스 방식의 설계를 시도했고, 알레프 시리즈부터 채용된 그들의 특허 기술인 슈퍼 시메트릭 회로의 채용이 돋보인다. 특히 이 기술은 풀 밸런스 회로에서만 가능한 기술인데, 앰프의 왜곡과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명료도와 뛰어난 다이내믹을 재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토대로 A클래스 방식의 설계 시 효과를 극대화시켜 스피드한 재생과 투명하고 질감 있는 사운드를 완성해 내고 있다. 그리고 전원회로 역시 고속 정류회로와 고효율의 여유 있는 트랜스포머를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구동력과 드라이브 능력의 밑거름을 만들어 준다. 이외에도 앰프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패턴과 부품의 선정 등을 통해 최상의 음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세 번째는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는 것. 필자도 동사의 라인업 리스트를 보면서 구분해야 할 정도로 다양한 앰프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알레프 시리즈 단종 이후 이들의 앰프는 XA 시리즈와 X 시리즈로 양분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XA 시리즈는 고효율의 A급 출력 방식을 채택하여, 출력은 높진 않지만 효율이 뛰어난 A급 증폭으로 섬세함과 높은 뛰어난 밸런스와 뚜렷하고 힘 있는 사운드를 추구하고 있으며, X 시리즈는 AB클래스 동작의 대출력형 라인업으로 구성하고 있다. 세부적인 라인업을 살펴보면 2004년부터 0.5 버전의 등장을 통해 X 시리즈이지만 A급 증폭을 지원하도록 라인업을 재구성하여 출력별, 증폭 방식별, 모노·스테레오 방식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앰프의 선택이 가능해졌다. 참고로 이번 스테디셀러로 선정된 X350.5 역시 X 시리즈이지만 A클래스 회로를 채택한 대표적인 스테레오 타입의 파워 앰프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네 번째는 명확하게 그들만의 패스 사운드가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필자가 굳이 정의를 하지 않더라도 패스는 빠른 반응의 구동력과 특유의 명료함을 통해 중립적인 성향으로 고역의 노련미가 사운드에 가득 묻어난다. 이는 어쩌면 외관의 이미지와는 또 다른 사운드 개성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단순히 외관의 이미지와 같이 금속적인 강인함과 출력만을 강조할 것만 같은 이미지와는 사뭇 다른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업마다의 특장점을 반영하여 증폭 방식에 따른 세부 튜닝을 통해 시리즈마다의 또 다른 사운드 개성을 경험할 수 있는데, 근본적인 사운드 특징은 패스 앰프 전반에 걸쳐 느낄 수 있다.
간략히 네 가지 정도로 요약해서 패스의 매력을 살펴보았는데, 이번에는 이들의 제품 중에서 스테디셀러로 선정된 X350.5만의 매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004년에 출시된 제품으로 X350는 기존 제품인 X350의 출력 디바이스에 고속 FET를 채용하여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사운드와 드라이빙 능력을 발휘하는데, X 시리즈에 속해 있지만 싱글 엔디드 퓨어 A클래스 방식의 채택하여 XA 시리즈의 사운드를 닮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노 타입의 상급 기종인 X600를 스테레오 타입으로 다운그레이드한 제품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고출력 MOSFET을 사용하고 피드백 회로를 통해 채널당 350W(8Ω)의 출력을 가능토록 하였으며, 재생주파수 범위가 1Hz-100kHz까지 광대역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작은 볼륨 레벨에서도 뛰어난 고음질의 해상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운드는 뛰어난 공간감을 바탕으로 치밀함과는 차별화된 섬세함과 빠른 반응을 통해 산뜻하고 투명한 사운드가 중심에 있다.
지금까지 패스 파워 앰프의 특징과 X350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필자는 스레숄드 제품부터 넬슨 패스의 제품을 경험했고, 이후 동사의 초기 제품인 알레프 시리즈를 통해 본격적으로 패스 브랜드를 알게 되었으며, 다시 한 번 당시의 음악성과 파워에 놀랐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이들의 꾸준한 성장을 지켜보면서 패스 제품에 대한 신뢰와 브랜드 가치를 인정해 주고 있다. 패스는 과거에는 창업주인 넬슨 패스를 마케팅적으로 강조하여 브랜드를 성장시켰지만, 이제는 하이엔드 앰프 전문 브랜드로 성장한 만큼 개발자의 명함을 뛰어넘어 제품을 경쟁력으로 내세워도 충분할 것이다. 끝으로 스테디셀러로 선정된 이유에 대해 한마디로 요약해 본다면 패스 X350는 X 시리즈와 XA 시리즈의 장점을 모두 내포한 파워 앰프로 패스를 대표할 만한 명기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는 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신품동의 민트급 상태입니다.
spec)
게인 : 30dB
주파수응답 : -0 dB at DC, -4 dB at 100 kHz
출력 : 350 watts maximum @ 1% THD, 1 kHz, 8 ohms
출력전압 : Maximum plus, minus approx. 80 volts
출력전류 : Maximum plus, minus approx. 20amps
입력임피던스 : 22 kohm balanced, 11 kohm unbalanced
Slew rate : approx. plus, minus 50 V/uS
출력노이즈 : approx. 300 uV unweighted 20-20 kHz
Random noise floor : approximately 2 uV
다이내믹레인지 : 148 dB (random noise floor to peak output)
Balanced CMRR : approx. -70 dB @ 1 kHz (input common mode rejection ratio)
DC offset :< 100 mv
전력소모량 : 600 watts idle, 1800 watts max
사이즈 : 480(W) x 290(H) x 550(D) mm
무게 : 68 kg

3>Mark Levinson No.38L
미국의 유명한 하이엔드 마크레빈슨의 대표적인 현대성향의 최고급 프리엠프 입니다.
동급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한 진정한 실력기 입니다.
no 38L 동사를 대표하는 리모트 콘트롤이 되는 최초의 모델로 음질이 우수한 기판소재를 글라스 에폭시 기판이 채용된 재품입니다.
마크레빈슨의 혈통답게 음악신호의 순도를 극한까지 올린 투명도,,해상력,,임장감이 좋습니다.
특히 단단한 베이스를 기조로 소리전체의 짜임새가 정갈해지므로 해서 유연성과 고역이 휠신 몌끄럽고 깊이감 우수한 사운드를 재현합니다.
또한 고급스러운 알류미늄 마감의 리모콘이 재공되어 사용감이 휠신 수월해진점또한 장점입니다.
장터에 돌지 않은 민트급의 완벽한 상태입니다.
spec)
消費電力 40w
電源電? 100V(50/60Hz)
外形寸法 400mmX95mmX36.3mm
重量 16kg
入力 (XLR端子)2系統
入力 (RCA端子)4系統
出力 XLR端子)1系統
出力 RCA端子)1系統
出力 ?音出力(RCA端子)2系統
利得:範? -72.1dB~+18.9dB
入力 임피던스 100kΩ/680pF
出力 6Ω
最大出力 16V

이상 전기종 일괄 1250만원 다른 오디오와 절충 교환도 가능
단품문의는 전화 바랍니다.

010-2441-99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331
어제
1,516
최대
19,236
전체
11,937,032


게시물의 내용과 개인간 거래에 관련된 모든 책임과 권리는 거래 관련 당사자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