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W 802D > 전문장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문장터

거래종료 B&W 802D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희동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문자보내기  (125.♡.134.70) 댓글 0건 조회 5,625회 작성일 07-03-28 14:49

본문

판매가격 :
(휴대폰 본인인증 완료)

회원가입일 : 2006-06-19 (6573 일)
최종접속일 : 2024-06-16 12:16:49

광주 아르페지오 오디오샵입니다.
B&W 802D 스피커입니다.
다이아몬드 트위터를 장착한 D시리즈의 중급모델로 800D 나 801D 와 중고음은 동일하고 우퍼부의 유닛이 작아졌습니다. 그래서 공간의 효율성이 좋고 파워앰프에 무리를 주지않고 쉽게 울려줄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치밀한 만듦새와 중용의 음으로 파워앰프의 드라이브 능력을 한없이 발휘시킬수 있으며, 다이아몬드 트위터의 중후한 느낌으로 전대역의 스무드한 연결이 매력적인 스피커입니다.

원박스및 부속물 모두있고 상태는 신품수준입니다.
판매가는 1150만원입니다.
지역은 전라광주이고 직접 배송해 드립니다.

011-9615-1858
poohlover4364@hanmail.net

제품설명
새로운 800 시리즈의 모델은 기존 제품의 디테일을 향상 시키고 그 연장 선상에서 최신의 기술을 접목시키고자 하였습니다.특히 B&W 스피커 최상급 기종인 시그너쳐 800 시리즈 개발과정에서 얻어진 기술을 상당 부분 적용하였습니다.

주요 변경점은 800,801,802,803,HTM1,HTM2 여섯가지 모델에 적용된 다이아몬드 트위터,그리고 전모델 공통의 로하셀 우퍼 입니다.

다이몬드 트위터
최근 비약적으로 향상된 제조 기술 덕분에 전엔 생각치 못했던 다이아몬드 또한 믿을 수 있는 품질과 여러 형태로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정말 신비의 물질입니다.

어떠한 화학적인 공격에도 견뎌내며 자외선과 적외선을 모두 통과 시킵니다. 우수한 열 전도체이며 완벽한 전기 절연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장점은 강도와 경도에 있으며 B&W 또한 이점을 십분 활용하였습니다.

인조 다이아몬드는 1950년대부터 만들어져 왔습니다. 당시엔 흑연과 그보다 밀도가 낮은 탄소를 엄청난 열과 압력이 있는 곳, 즉 화산 속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조건을 시뮬에이션하여 만들었으나 이 방법으로는 크기와 형상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화학 증착 (Chemical Vapour Deposition)이란 신기술을 사용하여 트위터 돔과 같은 복합적인 형상까지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 트위터 돔을 만드는 과정은 창에 서리가 끼는 것과 비슷합니다. 다만 물이 아니라 탄소 그리고 더 고가라는 점이 다릅니다. 특수한 가스를 플라즈마 안에서 태양 표면 온도와 같은 고온으로 가열하면 이 과정에서 ‘탄소 서리’(다이아몬드 크리스탈)가 특수 실리콘 위에 결정체로 생성되는데 이것이 초경질의 다이아몬드 돔입니다.

다이아몬드에 상처를 내는 것은 불가능하며 유리와 암석 그리고 금속 까지 절단 가공할 수 있습니다.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진 외과용 메스 날은 기존의 메스 보다 몇 십 배나 날카로우며 그로 인해 수술이 용이하며 상처 또한 빨리 아뭅니다.
그렇다면 왜 다이아몬드를 트위터 돔으로 사용하는 것 일까요?

사치스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이것은 B&W 사의 최고의 스피커를 향한 열정 입니다.
최고의 스피커라면 갖추어야 한다고 연구해 온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음 신호에 어떠한 가감도 없는 드라이버 유닛을 제작하는 것 입니다.
트위터의 경우, 단단하면서도 완벽한 피스톤 운동으로 가능한 한 최고 주파수까지 도달할 수 있는 돔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돔 트위터에 가장 적합한 물질, 즉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소재 중 최고가 바로 다이아몬드입니다.

지난 수년동안 B&W 사에서는 알루미늄 트위터 돔을 연구 개발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다 고역대까지 향상시켜 더 깨끗한 음을 전달하기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B&W 사가 지향하는 완벽한 트위터는 강도가 무한하면서도 중량이 없는 즉, 컴퓨터에서만 존재하는 물리적 특성의 소재로 된 돔이며 이러한 물성에 가장 가까운 소재가 바로 다이아몬드인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회사에서 만들어진 최상의 트위터 돔과 B&W 사의 기술력으로, 예전에 들어보지 못했던 가장 아름다운 음질의 궁극의 트위터가 탄생하였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를 보시면 알루미늄 돔과 다이아몬드 돔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를 배제한 상태에서 트위터의 소재만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입니다. 그래프상의 색칠된 부분은 이론상으로 완벽한 트위터, 무한한 강도와 “0”에 가까운 밀도를 가진 물질의 응답을 나타냅니다.
알루미늄 트위터의 경우 20kHz까지는 이론상의 트위터와 거의 동일한 응답을 보이지만
30kHz이상에서는 음이 들뜨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음의 왜곡이 생깁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트위터의 경우 70kHz까지도 이론상의 트위터와 동일한 응답을 보입니다. 트위터의 재질만으로도 많은 발전을 이룬 것입니다.

여러가지 드라이브 유닛 중에서도 가장 제조하기 힘든 것이 바로 트위터 입니다. 부속들 또한 섬세 하면서도 부서지기 쉽습니다. 여기에 성능의 한계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부품도 최상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조립 또한 최적의 통제된 공간에서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래야만 최고의 상품을 오래도록 변함없이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새로 개발한 다이아몬드 트위터를 위하여 B&W사는 새로 최첨단의 조립 라인을 구축했습니다. 이 곳에선 트위터의 모든 조립이 최신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다이아몬드 돔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고도 트위터 본체에 부착시키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조립 지그를 사용하여 돔 서라운드, 보이스 코일, 마그넷 등을 정밀하게 정렬시키며 이러한 정밀 공정 만이 모든 스피커가 다이아몬드의 품질에 부합되도록 보증할 수 있습니다. 

FST 미드레인지
뉴 800 시리즈의 모든 3웨이 스피커에는 B&W의 미드레인지 드라이버가 장착되었습니다.
진동판은 그대로 케블라 재질을 사용합니다. 이미 시그너처 800 스피커에서 선보인 알루미늄 페이즈 플러그와 네오디뮴 마그넷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유닛의 섀시 디자인도 조금 바뀌었습니다.

구형의 헤드도 변화되었는데, 트위터가 좀 더 밑으로 내려와서 묻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음질보다는 디자인을 고려한 것입니다. 마감 처리도 향상되었는데 이전에는 그냥 검은색이었는데 이제는 가까이서 보면 시그너처 800 스피커처럼 펄 가루가 들어간 것처럼 반짝거리는 느낌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뉴 800 시리즈의 모든 3웨이 스피커에는 B&W의 미드레인지 드라이버가 장착되었습니다.
진동판은 그대로 케블라 재질을 사용합니다. 이미 시그너처 800 스피커에서 선보인 알루미늄 페이즈 플러그와 네오디뮴 마그넷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유닛의 섀시 디자인도 조금 바뀌었습니다.

구형의 헤드도 변화되었는데, 트위터가 좀 더 밑으로 내려와서 묻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음질보다는 디자인을 고려한 것입니다. 마감 처리도 향상되었는데 이전에는 그냥 검은색이었는데 이제는 가까이서 보면 시그너처 800 스피커처럼 펄 가루가 들어간 것처럼 반짝거리는 느낌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로하셀 베이스 드라이버
“이전에는 페이퍼-케블라 재질의 진동판을 사용했습니다만, 베이스 드라이버에 사용한 Rohacell은 아주 견고한 폼인데 항공 업계에서 사용될 만큼 가볍고 강도가 높은 재질입니다.

이전에도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스피커들이 있었지만, 두께가 보통 1~2mm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뉴 800 시리즈에 적용된 진동판의 두께는 8mm로 거의 네 배이며, 여기에 카본을 샌드위치 시켜서 추가적인 강도 향상을 얻어냈습니다. 새로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저음의 어택이라든지 다이내믹이 더 강화되었습니다. ”

크로스오버
“크로스오버의 개발에는 청취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부품과 회로를 찾아내는데 주력했습니다.
음향적으로나 음악적인 균형을 얻기 위해서는 가급적 단순한 회로가 필요하다는 것이 B&W의 크로스오버에 대한 철학입니다.

신호 경로에서 전기적인 부품이 무언가를 더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처음으로 트위터에는 1차 필터를 사용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미드레인지 드라이버와 위상을 맞추기 위해서는 트위터의 부착 위치까지 좀 더 앞으로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지속적인 청취 테스트를 통해 독일 문도르프의 최고급 커패시터를 사용했습니다. “

캐비닛
“800 시리즈의 캐비닛은 덴마크의 B&W 공장에서 제조하고 있습니다. CNC 머신으로 제작하며,
무늬목 등 세심하게 모든 부분을 꼼꼼하게 검사합니다.

새로운 스피커들의 디자인은 노틸러스 800 시리즈와 비슷한데, 이는 B&W 스피커의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질적인 내용을 개선했다는 의미입니다. 캐비닛의 곡면 부분은 한 장의 합판을 휘어서 제조하므로 캐비닛의 접합 부분이 없습니다. 또 모든 모델에 B&W의 매트릭스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는 캐비닛의 강도를 개선하는 B&W의 특허 방식입니다. ”

802D
더블 우퍼를 채용한 3웨이 4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형. 다이아몬드 돔 트위터, 케블라 콘 미드레인지, Rohacell? 콘 우퍼 2조 채용.
• 튜브 로딩 다이아몬드 돔 트위터
• 네오디뮴(NdFeB) 마그네트 채용 케블라 콘
  FST 미드레인지
• Rohacell?(샌드위치) 콘 우퍼
• 신설계 네트워크
• 매트릭스 구조 곡면 캐비닛
• Flowport
제품사양
형식 : 3웨이 베이스 리플렉스 시스템
드라이버 : 25mm (1in) 다이아몬드 돔 트위터,150mm (6in) 케블라 콘(Kevlar? cone) FST 미드레인지,2 x 200mm (8in) Rohacell? 콘 베이스
재생 주파수 대역 : 34Hz ~ 28kHz(±3dB)
음압 : 90dB spl (2.83V, 1m)
임피던스 : 8Ω (최소 3.5Ω)
권장 앰프 출력 : 50~500W(8 Ω)
사이즈(W,H,D) : 1135 x 368 x 563mm
무게 : 80kg
마감 : Cherrywoo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180
어제
880
최대
19,236
전체
11,917,571


게시물의 내용과 개인간 거래에 관련된 모든 책임과 권리는 거래 관련 당사자간에 있습니다.